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북한이 대북제재와 코로나19를 거쳐 경제발전이 정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나왔다.
통일부는 북한경제를 객관적 자료에 기반 한 분석을 위해 '위성자료를 활용한 북한경제 변화 분석' 연구용역을 카이스트(KAIST)팀과 추진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앞서 지난해 1년차 시범사업으로 2016년, 2019년, 2021년도 주간 위성영상을 인공지능 기법으로 분석해 북한 평양·평안남도·평안북도·자강도의 경제변화 수치를 비교한 바 있다. 올해는 2차년도 연구로 시간범위를 2016–2023년까지 확장하고 공간적으로 북한 전체 지역의 변화수치를 분석할 예정이다.
통일부는 "대북제재와 코로나19가 북한 경제에 미친 영향을 위성자료 기반 데이터에 근거해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지난해 수행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2016년-2021년 중 평양은 대북제재와 코로나19 봉쇄를 거치면서 경제발전이 정체되거나 뒷걸음질 한 것으로 분석됐다.
통일부 측은 2016-2019년 대북제재 기간에는 서부 전체지역 대비 평양직할시와 평양도심의 경제발전점수(siScore) 변화가 절반 이하에 머물렀고 2019-2021년 코로나19 기간에는 마이너스 점수까지 발생한 것을 확인했다.
지방 시군구별로 비교하면 신의주시(평북), 자성군(자강) 지역은 대북제재 시기에 시설물 건설이 이루어지다가 코로나 시기에 중단돼 경제발전이 정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KAIST팀이 2016년, 2019년의 10m급 공개 위성영상을 활용해 자체 개발한 '위성영상을 활용해 경제발전상황을 분석하는 인공지능 기법'을 적용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제공한 2016년, 2019년, 2021년 북한 지역의 1m급 주간 위성영상을 연도별로 비교했다. 또한 총 17만3543장 격자 단위의 위성영상을 기계학습 알고리즘으로 비교해 경제발전 정도를 18개 카테고리로 나눠 상대평가하고 작은 지역 단위마다 경제발전점수를 부여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