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투데이 = 정인수 기자]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시사 발언에 따른 중국·일본 갈등 고조 속에, 중국이 서해 북부·중부·남부 등 도처에서 군사 활동을 진행 중이다.
24일 중국 해사국 홈페이지에 따르면 랴오닝성 다롄 해사국은 전날부터 다음 달 7일까지 2주간 다롄 인근의 보하이 해협과 서해 북부 일부 해역에서 군사 임무를 수행한다며 선박 등의 출입을 금지한다고 최근 밝혔다.
앞서 장쑤성 옌청 해사국은 지난 17∼19일 서해 중부 일부 해역에서 실탄 사격 훈련을 한다고 발표했고, 장쑤성 롄윈강 해사국은 18∼25일 서해 남부에서 사격 훈련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중국의 세 번째 항공모함 푸젠함도 최근 서해에서 취역 후 첫 해상 실전 훈련을 한 것으로 전해지며, 랴오닝성 후루다오 해사국은 지난 21∼23일 군사훈련을 이유로 보하이 일부 해역의 출입을 금지한 바 있다.
홍콩매체 홍콩01은 중국군의 서해 중부 훈련에 대해 "한중 배타적경제수역(EEZ)이 겹치는 구역과 가까워 전략적 민감성이 크다"면서 "일본과 한국, 주한·주일 미군에 잠재적으로 전략적 압력이 될 수 있다"고 보기도 했다.
또 산둥성 웨이하이 해사국은 산둥반도 동북부에 위치한 서해 류궁다오(劉公島) 동부 해역에서 이날 실탄 사격 훈련을 한다고 밝혔다.
류궁다오는 청나라의 첫 근대식 해군인 북양함대가 창설된 곳이자 사령부가 있던 곳이다.
북양함대는 청일전쟁 당시인 1895년 2월 이 부근에서 일본군에 대패했고, 그 결과 일본이 보하이만의 통제권을 완전히 장악했다는 것이 대만 연합신문망 설명이다.
중국은 이곳을 '국치를 잊지 말자'는 애국 교육·관광지로 활용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최근 중일 갈등 속에 '현재의 중국 함대가 청나라 때의 북양함대가 아니다'라는 등의 목소리가 나오는 상황이다.
싱가포르매체 연합조보는 류궁다오 훈련에 대해 "일본을 위협하는 의미가 짙다"고 해석했다.
한편, 중국군이 최근 소셜미디어를 통한 전투태세 과시를 이어가는 가운데, 대만 유사시 일본 군함 등을 상대할 미사일 전력인 로켓군이 발표한 영상은 전날 중국 소셜미디어 인기 검색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영상은 군인이 "만약 오늘 전쟁이 일어날 경우 내 대답은 바로 이것"이라고 외친 뒤 군가가 흐르는 가운데 중국군 실전 훈련 장면 등을 소개하는 내용이다.
지난 9월 전승절 열병식 때 공개됐던 개량형 고체 연료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둥펑(DF)-61, 액체 연료 ICBM DF-5C도 영상에 등장한다.
이러한 조치는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 이후 중일 관계가 경색되는 상황에서 나온 것이다.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 7일 중의원(하원)에서 '대만 유사시'는 일본이 집단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는 '존립 위기 사태'에 해당할 수 있다면서, 대만이 공격받을 경우 일본이 자위권 차원에서 무력 개입할 수 있다고 시사했다.
이후 쉐젠 주오사카 중국 총영사는 지난 9일 "더러운 목을 벨 수밖에 없다"고 발언한 데 이어 중국 당국은 관광 제한 등 경제적 타격 조치 등을 연이어 내놓고 있다.
시사투데이 / 정인수 기자 sisatoday001@daum.net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