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한덕수 국무총리는 2일 "국민 한 분 한 분이 112 버튼을 누를 때는 상당히 급박하고 경찰의 도움이나 조치가 절실한 경우다"며 "그 이면에는 언제든지 달려와 줄 것이라는 경찰에 대한 믿음과 신뢰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이태원 사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 참석한 자리에서 전날 경찰청이 '이태원 사고 이전 112 신고 내역' 공개와 관련 "경찰의 가장 기본적인 임무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것"이라면서 "이런 임무를 수행하는 데 안일한 판단이나 긴장감을 늦추는 일이 있다면 국민들의 믿음을 저버리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어 경찰을 향해 "특별수사본부와 감찰을 통해 철저히 조사하고, 국민들께 투명하고 소상하게 설명해 달라"고 주문했다.
한 총리는 이태원 압사 참사 당일 경찰의 늑장 대처와 관련 "조사가 끝나는 대로 상응하는 책임을 엄중히 묻겠다"며 "112 대응 체계의 혁신을 위한 종합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1일 외신기자브리핑에서 언론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각 부처는 문체부를 중심으로 국내외 언론과 소통을 강화하고, 필요한 경우 사실관계를 언론에 정확히 전달하는 노력을 강화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어제까지 돌아가신 분들 중 68분의 장례가 완료되고 오늘은 58분의 장례가 예정돼 있다"며 "복지부와 서울시는 유가족들의 장례를 마친 후에도 유가족과 1대1 매칭을 일정 기간 유지해 지원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 지속적으로 안내해달라"고 했다.
한 총리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은 정부의 가장 중요한 책무"라며 "모든 공직자들은 다시 한번 각오를 다지고, 이태원 사고의 수습과 재발방지를 위한 제도개선에 최선을 다해 달라"고 말했다.
한편 국민의힘은 오는 5일 국가 애도기간이 끝나는 즉시 여야와 정부 그리고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이태원사고조사특별위원회를 구성할 것을 제안했다.
아울러 재난안전관리기본법 개정안에 따르면 주최자 없는 행사의 관리 책임을 지방자치단체장에 부여하고 이동통신사의 기지국을 통한 인구밀집데이터를 활용해 긴급 재난문자를 발송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