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24일 북한의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 발사와 관련 서훈 국가안보실장에게 보고를 받은 자리에서 "유엔안보리 결의를 명백히 위반했다"고 가장 강경한 입장을 표명했다. 윤석열 당선인에 이날 상황과 향후 대응 계획을 브리핑하라고 참모진에게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직접 주재한 자리에서 "북한의 이번 발사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국제사회에 약속한 대륙간 탄도미사일 발사 유예(모라토리엄)를 스스로 파기한 것"이라며 "한반도와 지역 그리고 국제사회에 심각한 위협을 야기했다"고 언급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정부 교체기에 안보에 한 치의 빈틈도 없도록 굳건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유관국 및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하면서 모든 대응 조치를 철저히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이 긴장을 조성하는 행위를 즉각 중단하고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결의 길로 조속히 복귀할 것"을 엄중 촉구했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도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와 세계 평화를 위협하는 이러한 도발 행위를 강력히 규탄"한다면서 "한미간 철저한 공조를 토대로 국제사회와 협력해 북한의 도발에 강력히 대응해 나가야 하며, 유엔 안보리는 신속하게 긴급회의를 소집하고, 북한의 도발에 대한 엄중한 규탄과 함께 대응조치를 취할 것"도 촉구했다.
아울러 "문재인 정부는 이러한 북한의 위협에 대해 정치외교군사적으로 단호한 대책을 강구해 국민의 안전을 지켜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합동참모본부에 의하면 북한은 이날 오후 2시 34분쯤 평양 순안비행장 일대에서 탄도미사일 1발을 쏘아 올렸다. 정점 고도는 약 6천200㎞ 이상, 거리는 약 1천80㎞로 탐지됐다. 정상 각도 보다 높여 쏘는 고각 발사로 쏜 이 미사일은 신형 ICBM으로 추정되고 있다.
우리 군은 북한의 ICBM 발사에 대응해 오후 4시 25분부터 동해상에서 합동 지해공미사일을 발사했다.
대한민국 정부도 성명을 통해 "우리의 굳건한 군사적 대응능력과 공고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어떠한 위협에도 확고하게 대응해 나가면서 우리 안보 수호에 만전을 기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