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29일 "우리나라 최초의 국립대학 부설 특수학교가 오늘 공주대학교에서 첫걸음을 시작한다"며 "2024년 3월이면 공주대 부설 특수학교에 교육을 열망하는 전국의 장애 학생들이 모일 것이다.디지털과 문화 콘텐츠, 마케팅과 바이오산업 분야 등에서 저마다의 꿈을 키워 나갈 것이고 국립대학이 가지고 있는 전문성이 있는 교육자원과 연계하여 재능 있는 장애 학생들에게 특화된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는 첫 사례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충남 공주시 공주대학교 옥룡캠퍼스에서 열린 '공주대학교 부설 특수학교 설립 기공 행사'에 참석한 자리에서 "정부는 장애 학생들이 보다 나은 환경에서 자신의 꿈과 적성을 기를 수 있도록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특수교사의 확충을 추진해 왔다"며 "지난 4년간 14개의 특수학교, 1,717개의 특수학급을 증설했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어 "2017년 67.2%에 불과했던 특수교사 배치율도 82.4%까지 높였다"며 "이제 국립대에 특수학교가 설립되어 장애 학생들에게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의 문이 열렸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2024년 3월에는 부산대에도 예술 중고등 특수학교가 개교한다. 예술적 재능을 지낸 장애 학생들에게 아주 기쁜 소식"이라면서 "2025년 3월에는 충북 청주의 한국교원대에 체육 중고등 특수학교가 문을 연다. 장애인 체육 인재와 전문선수가 양성될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우리 대한민국은 교육의 힘으로 수많은 역경을 극복하고 발전을 이뤘고 우리 모두는 똑같은 기회를 가져야 하고, 누구나 다름없이 사회에 기여할 수 있다"며 "장애 학생들도 질 좋은 교육을 통해 자신을 개발하고, 자신의 진로와 직업에 도움이 되는 전문지식을 함양할 수 있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 "아직도 낮은 수준에 있는 장애인의 고등교육과 평생교육에 대한 접근성과 편의성이 대폭 제고되어야 하며, 국립대 부설 특수학교는 이를 위한 첫걸음으로써 매우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장애 학생들에게 직업은 자립의 토대이자 사회 속으로 나아가는 기반"이라며 "다양한 적성과 흥미, 꿈과 요구에 맞는 직업으로 사회생활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질 좋은 교육을 할 수 있는 다양한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이 전국 곳곳에 더 많이 설립돼야 한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정부도 장애 학생들의 생애주기별 통합지원체계를 강화하고, 직업교육 기반 확충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노력하겠다"며 "다시는 특수학교 설립을 위해 학부모들이 무릎을 꿇어야 하는 일이 없도록 정부부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끝으로 "아직도 일부 지역에서 장애인 특수학교 설립을 반기지 않는 분들이 적지않은 것이 안타까운 현실이다. 보다 너른 마음으로 우리의 아이라고 여겨주시기를 당부드린다"며 "공주대 부설 특수학교가 장애 학생뿐 아니라 선생님과 학교 관계자, 또 지역 주민 모두가 한마음으로 우리의 아이를 키우는 특수학교의 모범을 보여 주실 것을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