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학교와 마을이 지역 아이들의 돌봄과 배움을 함께 지원하는 미래교육지구가 확대된다.
교육부는 2022년 미래교육지구 사업 공모를 통해 총 33개 지역을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
미래교육지구는 민‧관‧학이 함께 지속 가능한 지역교육 협력 생태계를 조성해 지역 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 협력 사례를 만드는 사업이다.
지난해 11개 지구로 시작한 미래교육지구 사업은 내년에 기존 21개 지구와 신규 12개 지구를 포함해 총 33개 지구 규모로 운영될 예정이다.
현재 서울(서대문), 부산(사하, 부산진, 북구), 인천(계양), 울산(중구), 세종, 경기(시흥, 고양, 화성, 오산), 강원(인제), 충북(충주, 옥천, 제천), 충남(공주), 전남(순천, 곡성, 구례), 전북(군산), 경북(의성) 등이 미래교육지구로 지정돼 있다.
내년에는 서울(구로), 부산(연제), 인천(연수), 대구(수성), 대전(유성), 경기(안양), 강원(춘천), 충북(청주), 충남(논산, 당진), 전남(영암), 경남(고성) 등 12개 지역으로 확대된다.
이 중 ‘우리동네 교육회의’(서울 구로), ‘청주형 마을교육자치회’(충북 청주), ‘우리봄내 동동’(강원 춘천) 등 지역 내 교육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읍면동 단위 마을교육자치회 활동이 활성화된다.
아울러 ‘10분 이내 근거리 학습 공간’ 구축(인천 연수), ‘작은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운영(경남 고성), ‘품안애(愛) 당진’ 마을교육과정 개발(충남 당진) 등 지역 단위의 다양한 사업도 추진될 예정이다.
교육부는 미래교육지구로 선정된 지역에 특별교부금 1억 원씩을 지원하고 매년 연차 평가를 거쳐 재지정된 지구에는 최대 3년까지 사업비를 계속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신규 지구에는 전문가로 구성된 ‘성장지원단’을 통해 지역 상황과 특성에 맞는 공동협력센터를 구축한다. 또한 학교-마을 간 연계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지역특화 협력사업 등을 운영할 수 있도록 역량강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미래교육지구를 계기로 온 마을이 협력해 우리 아이들의 배움, 돌봄, 성장을 지원하는 토양을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