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홍선화 기자] 우리나라 학생의 수학과 과학 성취도가 세계적으로 상위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제 교육성취도 평가 협회는 8일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2019’ 결과를 공식 발표했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수학․과학 성취도를 국제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4년 주기로 시행되는 국제비교 연구다. 이번 연구에는 58개국의 초등학생 약 33만 명, 39개국의 중학생 약 25만 명이 참여했다. 우리나라는 2018년 12월 170개 초등학교에서 4학년 5,855명, 175개 중학교에서 2학년 6,246명이 참여했다.
이번 연구에서 우리나라 초4 학생의 성취도는 58개국 중에서 수학 3위, 과학 2위를, 중2 학생의 성취도는 39개국 중에서 수학 3위, 과학 4위로 나타나 상위 수준을 보였다.
초4의 수학 성취도는 평균 600점으로 참여국 중 3위, 과학 성취도는 평균 588점으로 참여국 중 2위다. 평가를 처음 실시한 1995년부터 주기적으로 참여한 후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성취도는 수학 2∼3위, 과학 1∼2위로 상위 수준을 지속 유지하고 있다.
성취수준별 학생 비율 중 수월수준 학생 비율은 수학 37%, 과학 29%, 기초수준 이상 학생 비율은 수학 99%, 과학 99%였다. 성별 비교에서는 수학과 과학 모두 남학생의 성취도가 여학생보다 지속적으로 높았다.
내용영역과 인지영역별 성취도는 상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수학은 내용영역별 성취도의 ‘수’ 영역과 인지영역별 성취도의 ‘알기’와 ‘추론하기’에서 이전 주기보다 낮았다. 과학은 내용영역별 성취도의 ‘물상과학’이 이전 주기보다 높았고 ‘생명과학’과 인지영역별 성취도의 ‘추론하기’가 낮았다.
수학과 과학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는 낮게 나타났다. 수학에서 자신감이 있는 학생은 64%, 흥미가 있는 학생은 60%로 나타났으나 모두 국제 평균에 비해 낮았다. 과학에서 자신감이 있는 학생은 76%, 흥미가 있는 학생은 84%로 나타났으나 모두 국제 평균에 비해 낮았다.
아울러 중2의 수학 성취도는 평균 607점으로 참여국 중 3위, 과학 성취도는 평균 561점으로 참여국 중 4위다. 중학생의 성취도 역시 수학 1∼3위, 과학 3∼5위로 상위 수준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성취수준별 학생 비율 중 수월수준 학생 비율은 수학 45%, 과학 22%, 기초수준 이상 학생 비율은 수학 97%, 과학 96%로 나타났다. 성별 비교에서 수학 성취도는 남여 학생 간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과학 성취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수학의 내용영역과 인지영역 성취도는 모든 영역에서 이전 주기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과학은 인지영역별 성취도의 ‘적용하기’가 이전 주기보다 높았다.
중학생도 수학과 과학에 대한 자신감, 흥미, 가치인식이모두 국제 평균 보다 낮았다. 수학은 '자신감이 있다' 46%, '흥미가 있다' 40%, '가치있다' 70%로, 과학은 '자신감이 있다' 34%, '흥미가 있다' 53%, '가치있다'는 66%로 나타났다.
전진석 교육부 학생지원국장은 “앞으로 첨단 기술 기반의 체험·탐구 중심 수업, 맞춤형 자기주도 학습 지원, 학생 발달 수준에 따른 교육 내용과 방법의 다양화 등을 통해 수학과 과학에 대한 자신감, 흥미, 가치인식 등 정의적 태도도 함께 높여나갈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