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일부터 순차적으로 시작되는 온라인 개학에 맞춰 선생님과 학생이 원격수업에 대비해 지켜야할 실천 수칙을 마련했다.
이번 수칙은 많은 학생이 쌍방향 화상수업과 온라인 교육 콘텐츠사용을 위해 동시에 몰릴 경우 통신망 과부하로 인터넷이 연쇄적으로 끊길 수 있는 원인을 차단하고 개인정보 유출과 해킹 등 예상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선제적인 대응이다.
원격수업 10가지 실천 수칙은 '원활한 사용'과 '안전한 사용' 두 가지로 나뉜다.
‘원활한 사용’에는 원격수업을 들을 때 되도록 유선 인터넷과 무선 인터넷(와이파이) 이용하기, 일시적인 접속 폭주로 인한 장애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e학습터와 EBS온라인 클래스 등 학습사이트는 미리 접속하도록 한다. 이어 학교여건에 따라 수업 시작 시간 다양하게 운영하기, 교육 자료는 SD급(480p, 720×480) 이하로 제작하기, 업로드⸱다운로드는 가급적 수업 전날인 오후 5시 이후 유선과 무선 인터넷(와이파이)을 이용하도록 했다.
‘안전한 사용’에는 영상회의 방에 비밀번호 설정하고 링크 비공개, 보안이 취약한 영상회의 앱(웹) 사용하지 않고 보안패치를 한 후에 사용, 컴퓨터⸱스마트기기⸱앱 등에 보안(백신) 프로그램 설치, 모르는 사람이 보낸 전자메일과 문자는 열어보지 않기, 수업 중에 선생님이나 친구들을 촬영하거나 무단으로 촬영한 영상 배포하지 않기다.
아울러 원격수업은 인터넷 사이트는 물론 아이피 티브이(IPTV), 케이블티브이, 위성방송 등 텔레비전을 이용해 시청하고 출결 점검은 밴드와 카카오톡과 같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활용할 것을 권장했다.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이 안 될 경우 반복해서 로그인을 시도하기 보다는 선생님께 상황을 알려드리고 잠시 후 다시 접속할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