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9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한중일 정상회의 직후 발표한 공동언론 발표문에서 "우리 3국은 역사적·지리적·문화적으로 가장 가까운 이웃이다.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번영을 책임지고 있는 가장 중요한 협력 파트너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오늘 아베 총리, 리커창 총리와 나는 3국 관계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하고, 협력을 강화하는 방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했다"고 이같이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특히 "무엇보다 우리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 남북관계 개선이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에 대단히 중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특별히 3국 정상의 특별성명 채택을 통해 판문점선언을 환영하고 지지해주신 것에 감사드린다"면서 "항구적 평화정착을 위한 과정에서 3국 간 긴밀한 소통과 협력이 지속해서 이루어지길 기대하고 약속한다"고 강조했다.
또 "3국 협력의 궁극적인 목표는 국민들이 그 성과와 혜택을 체감하고 누리는 데 있다"며 "이를 위해 우리는 실질협력을 확대하고, 미래 성장 동력을 창출하기 위한 공조를 강화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미세먼지, 감염병, 만성질환과 같이 국민의 삶을 위협하는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한편, 에너지, ICT 협력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사업들을 계속 발굴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3국 간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국민들의 교류와 소통이 더욱 확대되고 활발해져야 한다. 평창 동계올림픽을 시작으로 2020년 동경 올림픽, 2022년 북경 동계올림픽으로 이어지는 동북아 릴레이 올림픽이야말로 두 번 다시없을 좋은 기회"라고 언급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더 나아가 "오늘 정상회의에서 체육 교류 등 인적·문화적 교류 중요성을 확인하고 2020년까지 3국 간 인적교류를 3천만 명 이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면서 "특히 캠퍼스 아시아 사업 같은 청년 교류 사업을 더욱 활성화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3국 협력을 제도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3국 정상회의는 동북아 평화와 번영의 든든한 기반이라"며 "오늘 우리는 이러한 인식을 공유하고, 정상회의를 정례화해 나간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3국 협력을 추진하는 구심점으로서 협력사무국(TCS) 역할을 확대하고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며 "3국은 전 세계 인구의 5분의 1, 전 세계 총생산의 4분의 1, 전 세계 교역액의 5분의 1을 차지할 만큼 세계 경제의 성장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했다.
문 대통령은 마지막으로 "오늘 정상회의가 3국 협력을 더욱 심화·발전시키는 이정표가 되었기를 바란다. 흔쾌히 뜻을 모아주신 두 분 정상들께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