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해옥 기자]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어린이용품 제조·수입업체가 제품에 포함된 유해화학물질을 자발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어린이용품 유해물질 자가관리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이번 지원 사업은 어린이용품 관련 업체가 자사 제품의 유해화학물질 함유 여부를 미리 파악하고 제품 기획·설계부터 유통·판매까지 유해화학물질 사용 저감방안을 마련해 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
지원내용은 유해화학물질 분석, 공정진단, 친환경 디자인, 원·부자재 구매전략 제시로 구분된다. 세부적인 지원사항은 기업의 여건과 요구사항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최종 결정된다.
참여하는 모든 기업에 대해서는 환경보건법에 따라 어린이용품에 사용이 제한된 다이-n옥틸프탈레이트(DNOP), 다이이소노닐프탈레이트(DINP), 트리부틸주석(TBT) 등 환경유해인자 4종을 비롯해 카드뮴, 안티몬, 비소 등 중금속 8종, 다이-2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다이아이소데실프탈레이트(DIDP) 등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4종이 자사 제품에 포함돼 있는지 여부를 분석해 준다.
또한 개선 가능성, 이행의지 등을 검토해 선정된 일부 기업에 대해서는 맞춤형 집중 컨설팅을 지원한다.
환경부는 2012년 15개 사를 시작으로 지난해까지 약 300여 업체에 대해 ‘어린이용품 유해물질 자가관리 지원 사업’을 실시했고 올해는 총 80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참여를 희망하는 업체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누리집(www.keiti.re.kr)에 신청서를 내려 받아 8월 31일까지 담당자 이메일(spy0314@keiti.re.kr 또는 ssunung@keiti.re.kr)로 제출하면 된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