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태현 기자] 고농도 오존은 오후 2시부터 6시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 동안 7, 8월 여름철 오존과 기상 자료를 분석하고 통계적 기법을 활용해 올해 고농도 오존 발생 사례를 전망했다.
오존은 3개의 산소원자로 구성된 활성이 매우 강한 분자로 강력한 산화제로 작용해 만성 호흡질환이나 폐렴, 생체 면역능력 감소 등을 유발할 수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대기질통합예보센터는 1시간 기준으로 하루 중 최고 오존 농도가 90ppb를 초과할 때 ‘나쁨’, 150ppb를 초과할 때 ‘매우 나쁨’ 등급으로 나누어 대기질을 예보한다. 지자체에서는 1시간 기준 오존 측정 농도가 120ppb를 초과하면 ‘오존주의보’를 발령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올 여름철은 평년보다 높은 기온과 적은 강수로 인해 오존 생성이 활발할 수 있으나 흐린 날이 많아 오존 생성을 억제해 고농도 오존의 변화폭이 클 것으로 보인다.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7, 8월 오존주의보 발령 일수는 점차 증가 추세다. 2016년은 2015년 대비 1.7배 증가한 29일을 기록했다. 올해 고농도 오존은 오존주의보 발생일수가 많았던 2016년보다 조금 낮거나 유사한 수준으로 전망된다. 최근 3년 간 120ppb 이상의 고농도 오존은 오후 2시부터 6시 사이에 대부분(76%) 발생해 어린이, 노약자, 호흡기 질환자 등은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국립환경과학원 측은 “여름철 맑고 무더운 오후 2시부터 6시 사이에 고농도 오존 발생 빈도가 매우 높다”며 “고농도 오존이 발생할 경우 가급적 실외 활동이나 과격한 운동을 자제하고 승용차 이용을 줄이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
한편, 국립환경과학원은 고농도 오존의 발생에 따른 국민의 건강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매년 4월 15일부터 10월 15일까지 권역별 오존 예보를 실시하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