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해옥 기자] 요양병원 내 전문인력, 노인환자의 일상생활, 욕창관리 수준 등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인 1등급 요양병원이 전국에 202곳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15년 10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된 요양병원 6차 적정성평가 결과와 국민이 요양병원 선택할 때 길잡이가 될 수 있는 ‘요양병원 종합정보’를 31일 심사평가원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
요양병원 종합정보에는 요양병원 입원 진료분 가운데 전국 1,229개소 요양병원의 인력 보유수준,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정도, 피부상태(욕창) 등 의료서비스 수준에 대한 평가가 담겨있다. 국민이 요양병원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요양병원 위치, 진료과목, 입원환자 주된 질병 등을 적정성평가 결과와 함께 제공한다. 시설, 장비, 환자안전 등에 대한 ‘의료기관평가인증원’ 인증결과도 확인할 수 있다.
지난해 12월 기준 65세 이상 인구는 700만명으로 국민의 13.5%를 차지했고 지역별로는 경상권 195만(27.8%), 경기권 170만(24.3%), 서울 130만(18.5%) 순으로 많았다. 장기요양 의료서비스를 담당하는 요양병원은 1,428개소에 달한다. 요양병원 수도 노인인구 분포와 유사하게 경상권 534개소(37.4%), 경기권 351개소(24.6%), 전라권 212개소(14.8%) 순으로 나타났다.
<권역별 65세 이상 인구 대비 요양병원>
심사평가원은 6차 적정성평가 결과를 종합해 5개 등급으로 구분했다. 그중 1등급 기관은 전문인력을 많이 보유하고 욕창관리를 잘하며 노인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병원이 선정됐다. 전체 1,229개소 중 1등급은 202개소로 권역별로는 경상권이 70개소로 가장 많았고 경기권 54개소, 서울 31개소, 충청권 26개소, 전라권 20개소 등이었다. 1등급 202개소 중 2회 연속 1등급을 받은 기관은 57개소로 권역별로는 경상권 19개소, 경기권 15개소, 서울 11개소, 충청권 8개소, 전라권 4개소로 나타났다.
국민이 요양병원을 선택할 때는 인력 보유수준, 노인 환자에게 중요한 일상생활수행능력, 욕창 관리수준 등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약사, 방사선사, 임상병리사, 사회복지사, 의무기록사 재직일수율이 높은 곳이 인력 보유수준이 높은 곳이다. 진료부문에서는 노인환자의 인지기능 검사와 당뇨관리를 위한 검사비율이 낮고 일상생활수행능력 감퇴 또는 욕창이 악화된 환자비율이 높은 곳은 피하는 것이 좋다.
심사평가원 고선혜 평가1실장은 “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장기요양 의료서비스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국민이 요양병원을 선택할 때 심사평가원이 제공하는 요양병원 정보가 편리하게 활용되기 바란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