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6일 정부의 읍면동 복지허브 정책 점검을 통해 국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정책 현장을 찾는 현장 방문 행보를 재개했다.
이날 행사는 지난달 23일 초등돌봄교실 방문을 시작으로 29일 시간선택제 일자리 우수기업과 30일 홍천 친환경에너지타운 방문 등에 이어, 국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정책 현장을 찾아 국민 공감을 확산하기 위한 현장 행보의 일환이다.
박 대통령은 이날 서울 중랑구 면목 3·8동의 복지 허브화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국민 복지체감도 향상을 위해 일선 복지공무원의 발로 뛰는 행정이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전국 읍면동에 맞춤형 복지팀을 구성하는 등 복지허브화를 차질 없이 추진해 달라"고 당부했다.
'읍면동 복지허브화'는 일선 주민센터에 맞춤형 복지팀을 설치해 △찾아가는 방문 상담을 하거나 △사각지대 발굴하고 △민간 자원 연계 및 맞춤형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읍·면·동 중심 복지 전달 체계 개편을 뜻한다.
정부는 지난 2014~2015년에 전국 15개 읍면동에서 복지허브화 시범사업을 실시한 결과, 타 지역에 비래 복지사각지대 발굴을 6.2배, 찾아가는 방문 상담은 4.3배, 서비스 연계는 3.4배 등으로 대폭 늘어났고, 주민의 복지 체감도도 월등히 개선된 성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올해 2월 읍면동 복지허브화를 선도적으로 추진해나갈 33개 읍면동을 선정해 4월부터 맞춤형 복지팀을 운영한 결과, 타 지역에 비해 사각지대 발굴은 4.8배, 찾아가는 방문상담은 5.3배, 서비스연계는 6.9배로 높아졌다.
박 대통령이 방문한 중랑구 면목 3·8동도 이 33개 선도지역 읍면동 중 하나로, 지난 4월부터 맞춤형 복지팀을 운영한 이후 사각지대 발굴 2배, 찾아가는 방문상담이 5배 증가하는 등 성과를 내고 있다.
지난달까지 전국 283개 읍면동에 읍면동 복지허브화를 도입한 정부는 연말까지 933개, 내년까지 2100개로 확산시킨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2018년까지는 3500여개 전체 읍면동에 도입을 완료한다는 목표다.
박 대통령은 이날 현장 점검에서 민원상담 창구에서 현장의 복지공무원과 함께 민원인을 맞아 직접 상담을 했다.
이어 면목동 복지센터의 맞춤형 복지팀, 구청 복지공무원, 사회복지관 및 장애인 복지관 종사자, 지역사회보장 협의체 주민대표 등과 함께 위기가정 지원방안을 논의하는 '통합사례회의'에도 참석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