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10일 "북한이 역대 가장 강력하고 실효적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도 불구하고 7차 조선노동당대회를 통해 '핵 보유국'임을 주장하는 등 사실상 핵포기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며 "과거와는 차원이 다른 조치를 통해 북한의 핵개발 의지를 꺾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가브리엘라 미체띠(Gabriela Michetti) 아르헨티나 부통령 겸 상원의장을 접견, 대북 문제에 대한 협력을 당부하며 이 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아르헨티나 정부가 최근 북한의 연이은 도발에 대해 즉각적인 규탄 성명을 발표하고, 아르헨티나 상원과 하원이 각각 중남미내 의회 차원에서는 최초로 북한의 WMD(대량파괴무기) 개발 및 인권탄압 관련 비난 결의안 채택을 추진 중인 데 대해 사의를 표명했다.
이에 미체띠 부통령은 북한의 핵실험 및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 모든 도발행위에 반대한다며 마우리시오 마끄리 아르헨티나 대통령을 비롯한 아르헨티나 정부와 국민들은 모두 일관되게 북핵 등 한반도 문제 관련 한국 정부의 입장과 정책을 적극 지지하며 앞으로도 북한 비핵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협조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출범한 아르헨티나 신(新)정부의 정책과 관련해서는 "신정부가 추진중인 개혁·개방 정책들이 양국간 실질협력을 강화해 나가는 데 있어 좋은 토대가 되고 있다"며 "미체티 부통령의 이번 방한을 계기로 양국관계가 더욱 다각적으로 발전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박 대통령은 아르헨티나 신정부의 시장 친화적 경제정책 추진이 상호 보완적인 교역구조를 갖고 있는 양국 간 교역 및 투자 확대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자원·인프라, 공공행정 서비스 등 유망 분야에서 우리 기업의 진출 기회가 더욱 확대될 수 있도록 아르헨티나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이에 대해 미체티 부통령은 "아르헨티나 신정부가 규제 철폐, 자본 자유화, 금리 안정화 등 경제 재도약을 위한 개혁 조치들을 통해 국제 무대로의 복귀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동시에 "한국은 경제 정상화를 중점 모색 중인 아르헨티나에게 매우 중요한 협력 파트너로서 통상·투자, 교육·과학기술 등을 중심으로 한국과의 협력 확대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황교안 국무총리의 초청으로 8∼10일 방한한 미체띠 부통령은 지난해 12월 취임 이후 중남미 지역을 벗어난 첫 원거리 해외 순방국으로 우리나라를 찾았다. 미체띠 부통령의 방한은 이번이 처음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박 대통령의 이번 미체띠 부통령 접견은 아르헨티나 신정부와의 신뢰에 기반을 둔 협력관계를 조기에 구축, 실질협력을 강화해 나가기 위한 모멘텀을 확보하는 한편 북핵 등 한반도 문제에 대한 아르헨티나의 지지와 협조를 재확인했다는 등의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