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해옥 기자] 최근 5년간 불임환자 증가율이 3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5년간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해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불임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환자가 2008년 16만2천명에서 2012년 19만1천명으로 연평균 4.2% 증가했다.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 11.8%, 여성 2.5%로 남성에서 크게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산부인과 정재은 교수는 “남성에서 불임이 크게 증가한 이유는 과거에는 불임을 모두 여성의 책임으로 전가하려는 사회적 풍조가 있었으나 근래에 남성 인자에 대한 검사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불임 치료를 받는 남성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또한 “업무 스트레스, 고령화, 환경 호르몬 등으로 인한 남성인자의 증가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실제로 남성인자 검사 전 약 10일 정도 금욕 생활을 하고 금연, 금주 후 검사를 하면 과거 정자의 운동이 좋지 않았던 경우도 회복돼서 좋은 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20대부터 49세까지 가임여성의 나이를 고려해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수를 분석한 결과, 남성은 35~44세에서 연평균 증가율이 16.2%, 45~49세에서 연평균 12.8% 증가했다. 여성은 35~39세에서 연평균 증가율이 10.8%, 40~44세에서 연평균 10.5% 증가했다.
2012년 기준으로 연령별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수는 30~34세 여성이 3,658명으로 가장 많았고 35~39세 여성이 1,920명, 25~29세 여성이 1,352명 순으로 나타났다. 정 교수는 “30대 후반, 40대 초반에서 불임이 증가하는 이유는 결혼 시기가 30대 초반 이후로 늦춰지고 사회적 기반을 잡은 후 본격적으로 임신을 시도하는 시기가 30대 중반으로 늦춰지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정부는 현재 체외수정시술과 인공수정시술 등 특정치료를 요하는 일정 소득계층 이하의 난임 부부에게 시술비 일부를 지원해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켜주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보건복지부 홈페이지(www.mw.go.kr)에서 확인할 수 있고 보건복지콜센터(129)를 통해 상담 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