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홍미선 기자] 보건복지부는 근로빈곤층에 대한 1대 1 맞춤형 사례관리를 실시하고, 일을 통한 자립을 지원하는 희망리본사업을 내년부터 전국 단위 사업으로 확대해 시행한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2009년부터 희망리본 시범사업을 실시해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근로빈곤층의 복지와 고용 연계서비스 제공을 통한 취․창업 지원을 해 오고 있다. 올해 부산, 경기, 인천, 전북, 대구, 광주, 강원 7개 시․도에서 희망리본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희망리본사업은 참여자에 대해 기초상담, 맞춤형 취업준비, 취업알선의 3단계의 자립지원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일할 여건이나 의욕이 부족한 사람은 양육․보건․돌봄․치료 등 적합한 복지서비스를 적극 지원받음으로써 근로장애요인을 제거하고, 근로동기를 제고할 수 있다.
복지부는 희망리본 시범사업 성과를 전국 단위로 확산․공유하기 위해 내년부터 희망리본사업을 본 사업화해 정규 자활프로그램으로 편성하고, 전국 17개 시․도의 근로빈곤층 1만명을 대상으로 사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참여자의 도덕적 해이를 줄이고, 수행기관의 전략적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취업지원 난이도에 따라 성과급을 차등해 지급하는 성과급 체계를 도입할 예정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희망리본 수행기관의 안정적인 사업추진을 보장하되, 자활사업 인프라 간 선의의 경쟁체계를 유도하기 위해 2년 계약기간을 원칙으로, 1년 추가 갱신 계약하는 지정일몰제를 적용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