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호근 기자] #주부 박모씨(35)는 어린이날 선물로 아들이 좋아하는 장난감(비비탄총)을 구입하러 동네 문구점에 들렀을 때, 인증마크가 없거나 표시사항이 없는 제품을 발견했다. 어린이들의 안전과 직결된 상품인데도 불법・불량제품이 버젓이 시장에서 유통돼 마음이 편하지 않았다. 이를 계기로 소비자가 참여해 불법제품을 감시하는 안전지킴이단에 동참하게 돼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데 일조한다는 큰 자부심을 갖게 됐다.
기술표준원은 소비자 스스로 시중에 유통 중인 불법・불량제품을 감시하는 안전모니터링 사업을 2006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다. 안전모니터링 사업에 참가하는 150명의 제품안전지킴이들은 전국주부교실중앙회, 한국소비생활연구원 등 4개 소비자단체 회원들로 구성돼 있다.
올해는 6월초부터 11월말까지 어린이용품을 비롯한 각종 공산품과 전기제품에 대한 모니터링 활동을 하게 된다. 지난해까지 모니터링과정에서 적발된 불법・불량제품에 대해서는 계도위주의 자율시정을 권고했으나, 금년부터는 제조・수입업자에 대한 행정조치를 강화한다.
안전지킴이들이 불법・불량제품을 발견했을 경우에 소속 소비자 단체가 제조자 및 판매자에게는 자율시정을 권고하고 관련내용을 정부에 통보하며, 정부는 위반행위 정도에 따라 행정조치(과태료부과, 개선명령 등)를 할 예정이다.
안전지킴이단은 자율적인 시장감시와 불법・불량제품의 제조・유통을 막는 홍보대사로 소비자가 보다 안전한 제품을 구입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 왔다. 이로 인해 전기용품・공산품 위해사례 접수현황을 보면, 2007년 34%→ 2008년 32%→2009년 25%→2010년 3%로 증가율이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술표준원에서는 안전지킴이단 이외에 일반 소비자들도 불법・불량제품을 근절하기 위해 제품안전포털사이트(www.safetykorea.kr)에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