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투데이 = 이지연 기자] 질병관리청은 지난 14일 세계 당뇨병의 날을 맞아 생활 속 실천을 통한 건강생활 습관 형성의 중요성을 당부했다.
11월 14일 세계 당뇨병의 날은 전세계적으로 늘어나는 당뇨병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자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당뇨병연맹(IDF)이 공동으로 제정한 기념일이다.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대사질환의 일종이다.
당뇨병은 일반적으로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것이 특징으로 심근경색증, 만성콩팥병, 망막병증, 신경병증, 뇌졸중 등 다양한 합병증을 동반한다.
질병관리청 2024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당뇨병 유병률은 남자 13.3%, 여자 7.8%로 2023년 보다 각각 1.3%p, 0.9%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남자는 60대(35.5%), 여자는 70대 이상(28.5%)에서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또한 2022~2024년 분석 결과 당뇨병 인지율, 치료율, 조절률은 2019~2021년 대비 남녀 모두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0~30대 젊은 연령층의 인지율, 치료율, 조절률 모두 다른 연령층보다 매우 낮아 이들에 대한 집중적인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진단됐다.
질병관리청은 이번 세계 당뇨병의 날에 맞춰 생활 속 당뇨병 예방·관리 및 자가관리 제고를 위해 6대 당뇨병 예방관리수칙과 수칙별 실천지침을 마련하고 포스터, 리플릿, 카드뉴스, 쇼츠영상으로 각각 제작 배포한다.
또한 20~30대를 겨냥해 질병청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활용한 홍보·안내도 적극 실시할 예정이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당뇨병은 건강한 식단, 규칙적인 신체활동, 체중 관리, 금연, 알코올 제한 등 전반적인 생활습관 개선이 핵심 전략이다”며 “평상시에도 6대 당뇨병 예방관리수칙을 생활화하는 등 건강관리에 관심을 기울여 주실 것을 당부한다"고 한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