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기사 > 독자 제보
단종의 복위를 꾀한 사육신 성삼문
이미지 없음
단종의 복위를 꾀한 사육신 성삼문 성삼문(成三問)은 1435년(세종 17) 생원시에 합격하고, 1438년에 식년시에 응시하여 뒷날 생사를 같이 한 하위지와 함께 급제했다. 집현전학사로 뽑힌 뒤 수찬·직집현전을 지냈다. 1442년 박팽년·신숙주·하위지·이석형 등과 더불어 삼각산 진관사(津寬寺)에서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했고, 세종의 명으로 신숙주와 함께 예기대문.. [2010.10.29]
<
MORE
>
단종의 복위를 꾀한 사육신 박팽년
단종의 복위를 꾀한 사육신 박팽년 박팽년(朴彭年)은 1434년(세종 16) 알성문과에 급제하여 성삼문 등과 함께 집현전학사가 되었다. 1438년 삼각산 진관사(津寬寺)에서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했고, 1447년 문과중시(文科重試)에 급제했다. 문종이 왕위에 오른 ..
[2010.10.29]
단종의 복위를 꾀한 사육신 하위지
단종의 복위를 꾀한 사육신 하위지 하위지(河緯地)는 1435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1438년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집현전부수찬에 임명되었다. 1444년 집현전부교리로서 오례의주(五禮儀註)의 상정(詳定)에 참여했다.1448년 집현전교리로 복직했고, 이듬해 춘추..
[2010.10.29]
사육신 류성원 이개 유응부
사육신 류성원 이개 유응부 류성원(柳誠源)은 1444년(세종 26) 문과에 급제하여 1477년(세종 29) 중시(重試)에 합격하여 호당(湖當)에 들고, 집현전 학사로 있으면서 세종의 총애를 받았다.문종이 재위 2년 만에 죽고 단종이 즉위하자, 1453년 수양대군이 계유..
[2010.10.29]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한 신숙주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한 신숙주 신숙주(申叔舟)는 1438년 생원시·진사시에 합격했고, 이듬해 친시문과에 급제하여 전농시직장(典農寺直長)을 지냈다. 1441년 집현전부수찬이 되었다. 입직할 때마다 장서각에 파묻혀서 귀중한 서책들을 읽었으며, 자청하..
[2010.10.29]
조선 전기 과학기술자 장영실
조선 전기 과학기술자 장영실 장영실(蔣英實)은 1423년(세종 5) 노비 신분을 벗고 상의원별좌(尙衣院別座)로 임명되었다. 1424년 중국의 체재를 참고하여 물시계를 만들어 그 공으로 행사직(行司直)이 되었다. 1432년 김돈(金墩)·이천(李) 등을 도와 간의대(簡..
[2010.10.29]
무오사화로 사림파 제거한 류자광
무오사화로 사림파 제거한 류자광 류자광(柳子光)은 1467년(세조 13) 이시애(李施愛)의 난이 일어나자 자진하여 출전했다. 세조에게 발탁되어 병조 정랑이 되고 1468년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장원했다. 1468년 예종이 즉위하자 남이(南怡)·강순(康純) 등이 역모..
[2010.10.29]
갑자사화에 결정적 역할 한 임사홍
갑자사화에 결정적 역할 한 임사홍 임사홍(任士洪)은 1465년(세조 11) 알성문과에 급제, 사재감사정(司宰監司正)으로 벼슬을 시작하여 홍문관교리·도승지·이조판서 등을 역임했다. 재직중 훈구파 세력의 대표적인 인물로 지목당하여 사림파 공격의 표적이 되..
[2010.10.29]
도체찰사 병조판서 겸임한 성희안
도체찰사 병조판서 겸임한 성희안 성희안(成希顔)은 1485년(성종 16)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정자·부수찬을 지냈으며 1494년 연조가 즉위한 뒤 군기시부정·동지중추부사·형조참판 등을 역임했다. 1504년(연조 10) 이조참판 겸 오위도총부도총관의 직에 있었으..
[2010.10.29]
사림파의 사조(師祖) 김종직(金宗直)
사림파의 사조(師祖) 김종직(金宗直) 김종직(金宗直)은 1459년(세조 5)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권지부정자(承文院權知副正字)로 벼슬길에 올랐다. 이어서 저작·박사·교검·감찰 등을 두루 지내면서, 왕명에 따라 세자빈한씨애책문(世子嬪韓氏哀冊文)·인..
[2010.10.29]
훈구파(勳舊派)를 비판한 김일손
훈구파(勳舊派)를 비판한 김일손 김일손(金馹孫)은 1486년 진사가 되고, 같은 해 식년문과에 합격하여 권지부정자(權知副正字)에 올랐다. 1491년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고 주서(注書)·부수찬·장령·정언·이조좌랑·헌납·이조정랑 등을 두루 지냈다. 질정..
[2010.10.29]
10만 양병설 주장한 이이(李珥)
10만 양병설 주장한 이이(李珥) 이이(李珥)는 1548년 13세 때 진사 초시에 장원 급제하였다. 1555년 금강산에서 내려와 다시 성리학에 탐독하며 유교의 진리를 통해 현실 문제를 타개하겠다는 다짐을 설파하며 자경문(自警文)을 집필하였다.1564년(명종 19) 이..
[2010.10.29]
영남학파 이론적 토대 마련한 이황
영남학파 이론적 토대 마련한 이황 이황(李滉)은 1527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성균관에 들어가 이듬해 사마시에 급제했다. 1533년 성균관에 들어가 김인후(金麟厚)와 교유했으며, 심경부주(心經附註)를 입수하여 크게 심취했다. 1534년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2010.10.29]
조선 중기 시조작가 윤선도(尹善道)
조선 중기 시조작가 윤선도(尹善道) 윤선도(尹善道)는 1616년(광조 8) 이이첨의 난정(亂政)과 박승종·류희분의 망군(忘君)의 죄를 탄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유배를 당해, 경원(慶源)·기장(機張) 등지에서 유배생활을 하다 1623년 인조반정이 일어나 풀려났다. ..
[2010.10.29]
홍의장군(紅衣將軍) 곽재우
홍의장군(紅衣將軍) 곽재우 곽재우(郭再祐)는 1592년 음력 4월 14일에 임진왜란이 일어나고 연이은 관군의 패배와 선조의 의주(義州)로 피난 소식이 날아오자, 같은 달 사재를 털어 고향 의령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그는 2천 명에 이르는 의병을 이끌고 게릴라 ..
[2010.10.29]
[이전10개]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1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