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기사 > 독자 제보
 
고궁박물관 송자대전 교육홍보를
이미지 없음
고궁박물관 송자대전 교육홍보를 김민수 칼럼니스트 송자대전(宋子大全)은 1717년(숙종 43) 왕명으로 운각활자본(芸閣活字本)으로 간행된 우암집(尤庵集)과 경례문답(經禮問答), 부록·연보 등을 합하여 1787년에 간행하였다. 평안감사 이명식(李命植)의 주선으로 총 236권, 102책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으로 간행되었는데, 평안 감영에서 간행되어 기영본(箕營.. [2010.11.16] <MORE>
고궁박물관 증정교린지 교육홍보를
고궁박물관 증정교린지 교육홍보를 김민수 칼럼니스트 증정교린지(增正交隣志)는 1802년(순조 2)에 사역원의 역관인 김건서(金健瑞)가 이은효(李恩孝)·임서무(林瑞茂) 등과 함께 편집, 간행하였다. 김건서는 증조부 김경문(金慶門)이 1720년(숙종 46)에 편.. [2010.11.16]
고궁박물관 기년편람 교육홍보를
고궁박물관 기년편람 교육홍보를 김민수 칼럼니스트 1778년(정조 2) 이만운(李萬運)이 편찬한 기년아람(紀年兒覽)을 고조 광무제가 보고 기년편람(紀年便覽)이라는 서명(書名)을 내리고 좌참찬 김세균(金世均)에게 정조(正祖) 이후의 사실(史實)도 속찬하도.. [2010.11.16]
고궁박물관 대한예전 교육홍보를
고궁박물관 대한예전 교육홍보를 김민수 칼럼니스트 대한예전(大韓禮典)은 1897년 대한제국(Daehan Empire) 건국(建國)과 동시에 시행하기 위하여 사례소(史禮所)에서 편찬한 전례집(典例集)이며 황제즉위의(皇帝卽位儀) 등 독립국가에 필요한 전례를 새롭게.. [2010.11.16]
고궁박물관 국조5례의 교육홍보를
고궁박물관 국조5례의 교육홍보를 김민수 칼럼니스트 국조5례의(國朝五禮儀)는 길례, 가례, 빈례, 군례, 흉례 등 5례(五禮)에 관한 의식 절차를 기록하였으며 길례(吉禮)는 산천과 태묘(太廟) · 사직(社稷)에 올리는 제사에 관한 의식, 선농제(先農祭)· .. [2010.11.16]
고궁박물관 원산학사 교육홍보를
고궁박물관 원산학사 교육홍보를 김민수 칼럼니스트 1883년 1월 새로 부임해온 덕원부사 겸 원산감리 정현석(鄭顯奭)은 서북경략사(西北經略使) 어윤중(魚允中)과 원산항 통상 담당의 통리기무아문 주사인 승지 정헌시(鄭憲時)의 지원을 받고 덕원·원산의.. [2010.11.16]
고궁박물관 동문학 교육홍보를
고궁박물관 동문학 교육홍보를 김민수 칼럼니스트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朝美修好通商條約)이 체결되어 외국과의 교섭이 활발해지자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의 협판(協辦) 겸 총세무사로 부임한 독일인 묄렌도르프가 외국어 통역.. [2010.11.16]
고궁박물관 육영공원 교육홍보를
고궁박물관 육영공원 교육홍보를 김민수 칼럼니스트 1883년 미국에 보빙사(報聘使)로 갔다가 돌아온 민영익(閔泳翊)을 비롯하여 개화파인 홍영식(洪英植), 서광범(徐光範), 변수(邊燧) 등이 국가 근대화를 위해서 근대학교를 설립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미.. [2010.11.16]
고궁박물관 시흥행궁 교육홍보를
고궁박물관 시흥행궁 교육홍보를 김민수 칼럼니스트 시흥행궁(始興行宮)은 조선시대 정조가 장헌세자(莊獻世子)의 능행길에 들렀던 행궁(行宮)으로 1794년(정조 19) 안양 만안교를 돌다리로 개축하고, 경기감사 서용보가 왕의 능행을 위하여 시흥에 행궁을 .. [2010.11.16]
고궁박물관 화성행궁 교육홍보를
고궁박물관 화성행궁 교육홍보를 김민수 칼럼니스트 화성행궁(華城行宮)은 1796년(정조 20)에 화성(華城)을 축성한 후 팔달산(八達山) 동쪽 기슭에 576칸 규모로 건립하였으며 효성이 지극한 정조가 장조(莊祖:장헌세자)의 능침(陵寢)인 화산릉(華山陵)을 참.. [2010.11.16]
고궁박물관 사근행궁 교육홍보를
고궁박물관 사근행궁 교육홍보를 김민수 칼럼니스트 1790년에서 1795년에 걸쳐 과천행궁(果川行宮), 사근행궁(肆覲行宮), 시흥행궁(始興行宮), 안양행궁(安養行宮), 안산행궁(安山行宮), 화성행궁(華城行宮) 등 모두 6개의 행궁이 설치되었다. 사근행궁(肆覲.. [2010.11.16]
고궁박물관 남한행궁 교육홍보를
고궁박물관 남한행궁 교육홍보를 김민수 칼럼니스트 남한행궁(南漢行宮)은 1624년(인조 2) 7월에 착공하여 1626년 11월에 완공되었고 후금(後金)의 침입에 대비해 백제의 토성을 석성으로 개축해 축조하였다.남한행궁(南漢行宮)은 상궐(上闕) 73칸, 하궐(下.. [2010.11.16]
고궁박물관 북한행궁 교육홍보를
고궁박물관 북한행궁 교육홍보를 김민수 칼럼니스트 북한행궁(北漢幸宮)은 1711(숙종 37)년 5월 북한산성 축성을 감독하던 김우항(金宇杭)이 산성 내에 행궁을 지어야 한다고 진청하여 허락을 받고 다음해에 완공하였다. 험한 지세를 감안하여 영건청(營.. [2010.11.16]
고궁박물관 강화부궁전도 교육홍보를
고궁박물관 강화부궁전도 교육홍보를 김민수 칼럼니스트 강화부궁전도(江華府宮殿圖)는 경기 강화부(江華府)의 궁전(宮殿) ·묘전(廟殿) 등을 모사(模寫)한 1881년(고조 18) 모사한 것으로, 모두 4폭의 절본식(折本式)으로 되어 있는 채색도첩(採色圖帖)이다.. [2010.11.16]
고궁박물관 조경묘(肇慶廟) 교육홍보를
고궁박물관 조경묘(肇慶廟) 교육홍보를 김민수 칼럼니스트 전주이씨 시조인 이한은 전주에 거주하였고 태조의 4대조 이안사(李安社)가 강원도 삼척을 거쳐 함경도 덕원 땅에 옮겨갈 때까지 19대가 전주에 대대로 살았다. 조경묘(肇慶廟)는 조선 태조 이성계.. [2010.11.16]
[이전10개][301][302][303][304][305][306][307][308][309][310][311][312][313][314][315][다음1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