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기사 > 독자 제보
윤음(綸音)
윤음(綸音) 윤음(綸音)은 조선시대에 국왕이 백성이나 백관(百官)에게 연초에 내리는 훈유(訓諭)의 문서로 내용은 의례적인 것으로부터 국가의 위기상황에서 특별히 내려지는 것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고 권농(勸農)·척사(斥邪)·포충(褒忠)·구휼(救恤)·양로(養老)·독역(督役) 등 국정 전반에 걸쳐 필요한 대로 내려졌다. 윤음(綸音)은 국왕이 친히 지어 어떤.. [2012.06.11]
<
MORE
>
외명부(外命婦)
외명부(外命婦) 외명부(外命婦)는 조선시대에 왕족(王族) 및 문무관(文武官)의 처(妻)에게 내리던 봉작(封爵)으로 왕후(王后)의 딸 공주(公主)와 후궁(後宮)의 딸 옹주(翁主)를 품계(品階)를 초월한 무계(無階)로서 최상위에 두었고, 대군(大君)의 처(妻..
[2012.06.11]
49재(四十九齋)
49재(四十九齋) 49재(四十九齋)는 사람이 죽은 날로부터 매 7일째마다 7회에 걸쳐서 49일 동안 죽은 자의 극락왕생(極樂往生)을 비는 천도의식(薦度儀式)이며 6세기경 중국에서 생겨난 의식으로 유교의 조령숭배(祖靈崇拜) 사상과 불교의 윤회(輪廻) ..
[2012.06.11]
서궐도안(西闕圖案)
서궐도안(西闕圖案) 1720년(광조 12)에 경덕궁(慶德宮)이 영건되었으며 1760년(영조 36)에 경희궁(慶熙宮)으로 개칭하였다. 서궐도안(西闕圖案)은 경희궁(慶熙宮)의 전경(全景)을 그린 그림으로 동궐도와는 달리 채색이 가해지지 않은 밑그림이다. 1829년 경..
[2012.06.11]
운현궁(雲峴宮)
운현궁(雲峴宮) 운현궁(雲峴宮)은 대한제국 1대 고조 광무제의 생부인 흥선대원군의 저택으로 고조 광무제가 탄강하여 조선 국왕으로 즉위하기 전 12살까지 살았던 잠저(潛邸)이다. 고조 광무제가 즉위하자 운현궁은 흥선대원군이 10여년간 섭정(攝政)하며 정..
[2012.06.11]
시호(諡號) 존호(尊號)
시호(諡號) 존호(尊號) 시호(諡號)는 생전에 행한 업적을 평가받은 이름이므로 대행(大行)이 있는 분은 대명(大名)을 받고, 세행(細行)이 있는 분은 소명(小名)을 받으며 대왕이 8자, 왕후가 2자인 것이 정례(定例)였다. 시호는 봉상시(奉常寺)에서 승하한 국..
[2012.06.11]
청계천(淸溪川)
청계천(淸溪川) 청계천(淸溪川)은 타락산(駝駱山), 인왕산(仁王山), 목멱산(木覓山), 백악산(白岳山)으로 둘러싸인 한성의 모든 물이 청계천(淸溪川)에 모여 동쪽으로 흐르다가 왕십리 밖 살곶이다리 근처에서 중랑천(中浪川)과 합쳐 서쪽으로 흐름을 바꾸어 ..
[2012.06.11]
부묘도감의궤(祔廟都監儀軌)
부묘도감의궤(祔廟都監儀軌) 부묘도감의궤(祔廟都監儀軌)는 조선시대에 상기(喪期)를 마친 조선 국왕과 왕후의 신주를 태묘(太廟)로 봉안할 때의 의절(儀節)을 기록한 의궤이며 조선 국왕과 왕후의 상(喪)에는 먼저 혼전(魂殿)을 설치하고 혼..
[2012.06.11]
국장도감의궤(國葬都監儀軌)
국장도감의궤(國葬都監儀軌) 국장도감의궤(國葬都監儀軌)는 국장(國葬)을 총괄하는 국장도감에서 일이 끝난 후 문서들을 정리하여 책으로 엮었으며 궁중에서 발인(發靷)하여 장지로 옮기는 행사를 담고 있다. 국장도감의궤 여러 부를 만들어 하나를 국왕이 열..
[2012.06.11]
산릉도감의궤(山陵都監儀軌)
산릉도감의궤(山陵都監儀軌) 산릉도감의궤(山陵都監儀軌)는 조선시대 국왕과 왕후의 상장례(喪葬禮) 국장(國葬) 때에 임금과 왕후의 무덤 산릉(山陵)에 관한 의절(儀節)을 기록한 의궤이며 국장(國葬) 때 만들어지는 국왕과 왕후의 봉분 현궁(玄宮) · 제물을 ..
[2012.06.11]
국왕이 친림하는 수렵대회 강무(講武)
국왕이 친림하는 수렵대회 강무(講武) 강무(講武)는 조선시대에 국왕의 친림 하에 실시하는 군사 훈련으로서의 수렵대회이며 1396년(태조 5)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의 건의에 따라 의식 규례가 마련된 후 국조오례의에 자세한 의례 절차가 정비되었다.조선 초기..
[2012.06.11]
묘제(墓祭) 시제(時祭) 기제(忌祭)
묘제(墓祭) 시제(時祭) 기제(忌祭) 3월 상순에 고조고(高祖考) 이하의 조상님 묘에서 8촌 이내의 친족인 당내(堂內)가 봉제사(奉祭祀)하는 것은 묘제(墓祭) 또는 묘사(墓祀)라고 하고 1, 4, 7, 10월 상순에 5대조고(五代祖考) 이상 조상님의 묘에서 ..
[2012.06.11]
만리장성(萬里長城) 동남쪽이 대한국령(大韓國領) 간도(間島)
만리장성(萬里長城) 동남쪽이 대한국령(大韓國領) 간도(間島) 중국의 진(秦),한(漢)은 흉노(匈奴)의 침략을 방어하기 위해 국경에 만리장성(萬里長城)을 축조하였고 당(唐) 태종은 만리장성 북쪽의 이민족국가를 복속하고 세계 제국 건설의 야심을 가..
[2012.06.11]
천리장성(千里長城) 간도(間島)
천리장성(千里長城) 간도(間島) 진(秦),한(漢)은 흉노(匈奴)의 침략을 방어하기 위해 국경에 만리장성(萬里長城)을 축조하였고 당(唐) 태종은 만리장성 북쪽의 이민족국가를 복속하고 세계 제국 건설의 야심을 가져 만리장성 북쪽의 돌궐(突厥)을 침..
[2012.06.11]
관리를 선발하는 과거(科擧)
관리를 선발하는 과거(科擧) 조선 왕실은 관리를 선발하기 위해 과거제도(科擧制度)를 시행했고 과거의 시험과목이자 정교(政敎)의 이념으로 채택된 유학(儒學) 교육은 양반의 자제에 한정되어 있었으며 한성은 사학(四學), 지방은 향교(鄕校)에 들어가서 공부하..
[2012.06.11]
[이전10개]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1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