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기사 > 독자 제보
 
무예도보 통지(武藝圖譜 通志)
무예도보 통지(武藝圖譜 通志) 무예도보 통지(武藝圖譜 通志)는 전투동작 하나하나를 그림과 글로 해설한 실전 훈련서이며 1790년(정조 14)에 간행되었다. 1598년(선조 31) 한교(韓嶠)가 편찬한 무예제보(武藝諸譜)와 1759년(영조 35) 간행된 무예신보(武藝新譜)의 내용을 합하고 새로운 훈련종목을 더한 후 이용에 편리한 체제로 편집하여 간행하였다. 앞머리에 정조의.. [2012.06.15] <MORE>
내명부(內命婦)
내명부(內命婦) 내명부(內命婦)는 조선시대에 궁중 여성의 풍속을 바로 잡으려고 유교 이념을 바탕으로 조직한 여관제도이며 조선 초기 내관(內官)·여관(女官) 등으로 불린 궁녀조직이 성종 대의 경국대전에 내명부로 명시됐다. 내명부는 궁중의 여성 가운데 .. [2012.06.15]
시비와 선악을 판단하는 해치(獬豸)
시비와 선악을 판단하는 해치(獬豸) 해치(獬豸)는 시비와 선악을 판단하여 안다고 하는 머리에 뿔이 있고 사자와 비슷한 상상의 신수(神獸)로 목에 방울을 달고 있으며 몸 전체는 비늘로 덮여 있고 겨드랑이에는 날개를 닮은 깃털이 나.. [2012.06.13]
부신(符信)
부신(符信) 조선시대 병조(兵曹)에서 발행한 여러 신표(信標)인 부신(符信)은 나무 조각과 두꺼운 종이 조각에 글자를 쓰고 인장을 찍은 후 다시 2조각으로 쪼개어 한 조각은 상대에게 주고 나머지 조각은 발행한 쪽에서 보관하였다가 사용할 때 서로 맞추어 .. [2012.06.13]
독립문(獨立門)
독립문(獨立門) 조선 태종 7년(1407)에 모화루를 처음 세우고 세종 12년(1430)에 모화관이라 이름을 바꾸고 홍살문을 세웠다. 중종 32년(1537)에 홍살문보다 격식을 갖춘 형식의 문을 만들고 영조문이라 하였다가 중종 34년(1539)에는 영은문(迎恩門)이라 이름.. [2012.06.13]
고명(誥命)
고명(誥命) 중국에서 이웃 나라 국왕의 즉위를 승인하여 왕위를 승인하는 문서 고명(誥命)과 금인(金印)을 보냈다. 태조는 조선(朝鮮) 건국 직후 사신을 보내어 건국사실을 명나라에 알리고 조선 국왕의 고명과 인신(印信)을 요청하였으나 여진문제와 조공문제.. [2012.06.13]
동궐도(東闕圖)
동궐도(東闕圖) 동궐도(東闕圖)는 조선 후기에 도화서 화원들이 한성의 동쪽에 위치한 동궐인 창덕궁과 창경궁의 전각 및 궁궐 전경을 사물을 정면이 아니라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보듯이 그리는 부감법(俯瞰法)으로 그린 궁궐 배치도이며 비단에 채색한 것이.. [2012.06.13]
왕세자탄강진하도10첩계병
왕세자탄강진하도10첩계병 왕세자탄강진하도10첩계병(王世子誕降陳賀圖十疊契屛)은 대한제국 2대 순종 융희제의 탄생을 축하하는 진하례(陳賀禮)를 그린 궁중기록화로 왕세자탄강진하도10첩계병의 좌우 양쪽 끝 폭 좌목에는 진하례(陳賀禮)에 참여한 관원들의 .. [2012.06.13]
사직단(社稷壇)
사직단(社稷壇) 사직단(社稷壇)은 토지의 신인 사(社)와 곡식의 신인 직(稷)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이며, 나라에 큰 일이 있을 때나 비가 오지 않아 가뭄이 든 때에 의식을 행하였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가 한양에 도읍을 정하고 좌묘우사(左廟右社)의 제도에 따.. [2012.06.13]
아관 이어(俄館 移御)
아관 이어(俄館 移御) 일본이 청일전쟁에서 승리하여 조선에 대한 우월권을 확보하고, 중국으로부터 요동반도를 할양받는 등 대륙 침략의 발판을 마련하자 1860년대 이후 남하정책을 추진한 러시아는 동아시아에서 일본의 독주를 우려하여 프랑스·독일과 함께 .. [2012.06.13]
도정궁(都正宮)
도정궁(都正宮) 도정궁(都正宮)은 서울시 종로구 사직동의 조선 중종(中宗)의 7남이자 선조(宣祖)의 사친인 덕흥대원군의 사저(私邸)이자 선조의 잠저(潛邸)이고, 덕흥대원군의 역대 사손(嗣孫)들의 사저(私邸)이자 종택(宗宅)이다.1588년(선조 21) 도정궁이 화.. [2012.06.13]
영선사 보빙사 수신사
영선사 보빙사 수신사 영선사(領選使)는 1881년 서양의 과학기술 학습과 미국과의 통상(通商)에 대한 사전 교섭을 목적으로 청나라에 파견한 유학생의 인솔사행이며 김윤식(金允植)·어윤중(魚允中) 등의 온건개화파들이 중심이 되어 중국에 도입되어 있는 서양.. [2012.06.13]
척화비(斥和碑)
척화비(斥和碑) 흥선대원군이 1866년 천주교 금압령(禁壓令)을 내려 프랑스 선교사 9명을 비롯한 천주교도 8,000여 명을 학살하였다. 조선을 탈출한 리델 신부가 중국 톈진에 주둔한 프랑스 인도차이나함대 사령관 로즈 제독에게 조선의 천주교도 학살을 알렸으.. [2012.06.13]
앙부일구(仰釜日晷)
앙부일구(仰釜日晷) 해시계 앙부일구(仰釜日晷)는 앙부일영(仰釜日影)이라고도 하며 제일 가장 유명한 것은 세종 19년(1434)에 세종이 장영실(蔣英實)에게 명하여 만든 앙부일구이다. 세종은 한양의 북극 고도를 표준으로 별자리를 관측하고 역법을 계발하라고 .. [2012.06.13]
마패(馬牌)
마패(馬牌) 조선 국왕은 지방관의 감찰과 백성의 사정을 조사하기 위해 비밀리에 암행어사(暗行御史)를 임명하고 각 지방에 파견하여 비밀 감찰의 임무를 부여하였으며 암행어사는 성종 대 지방 수령의 비리가 크게 문제가 되면서 성립하였고 조선 후기 3.. [2012.06.13]
[이전10개][226][227][228][229][230][231][232][233][234][235][236][237][238][239][240][다음1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