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정부가 인공지능(AI)·반도체·로봇 등을 통한 차세대 방산기술 개발에 박차 가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방위사업청은 올해 민군기술협력사업 시행계획을 30일 확정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보다 약 32%(277억원) 증가한 1134억원을 투자해 투수륙양용 기동정찰로봇, 초소형 자폭드론시스템 등 132개 개발과제를 지원한다. 특히 인공지능(AI), 반도체, 로봇, 드론 등 차세대 방산 소부장 핵심기술 자립화에 전체 투자금액의 약 63%인 720억원을 집중 투자한다.
민간기술이 국방 분야에 적용이 확대될 수 있도록 민군 소통 협력 플랫폼인 ‘첨단민군 협의체’를 가동해 군 소요와 연계 가능한 첨단기술을 발굴하고 국방부와 협업해 군의 소요결정 전이라도 민간의 신기술을 신속히 검증할 수 있는 군(軍) 시범 운용을 확대한다.
한미 간 방산 협력 강화와 수출지원을 위해 산․학․연․군이 참여하는 함정 MRO(유지·보수·정비) 민․군 협의체를 구성하고 MRO 분야 전문인력 양성 및 시험․인증 체계 구축을 위한 신규사업을 발굴할 예정이다.
방위산업을 뒷받침할 핵심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기계․소재, 전기․전자, 우주항공 등 방산 기반산업 분야에 연간 600억원을 투자해 2000명 이상의 전문인력도 양성할 계획이다.
아울러 민군기술융합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을 위해 민군기술협력사업 촉진법 및 관련 규정도 함께 개정할 계획이다.
민군기술협력사업은 민군기술협력사업 촉진법에 근거해 1999년부터 시작된 대표적인 범부처 협력사업으로 민군 겸용기술 개발(Spin-up), 민간기술의 국방분야 활용(Spin-on), 국방기술의 민간분야 활용(Spin-off)과 민과 군의 규격을 표준화하고 기술정보를 교류하는 사업 등으로 구성돼 있다.
대표적인 민군기술협력사업 성과로는 항만, 연안의 철통 경계태세와 국민 안전 확보에 초석이 될 20톤급(60노트 이상) 차세대 초고속정, 침수환경에 대한 지능형 대응기술로 개발돼 함정 생존성과 작전 수행 능력 향상에 기여하고 있는 구축함용 해수펌프 등이 있다.
산업부 박성택 차관은“첨단화되는 미래 방산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AI, 드론 등 민간의 첨단기술과 방위산업간 융복합을 통한 기술혁신이 중요하다”며 “방위산업의 수출 전략산업화를 뒷받침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 민군 협력을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했다.
방위사업청 강환석 차장은 "방위산업 4대 강국 진입을 목표로 민군기술협력사업 관련 정책들을 적극적으로 관리해 육성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