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재 기자] 어업인들이 직접 참여해 폐어구를 저감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해양수산부는 19일 어업인, 환경단체, 관련 학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열린소통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국내에서 매년 발생하는 해양쓰레기 14만5천 톤 중 해상 기인 쓰레기는 5만 톤이다. 폐어구는 이 중 76%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돼 관리의 필요성이 크다.
그동안 해수부는 바다에 유입되는 폐어구를 줄이고 해양환경을 보전하기 위해 어구 생산·판매업 신고제, 어구보증금제, 인증부표 및 생분해어구 보급 등 어구관리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이번 포럼에서는 해양환경 보전을 주제로 시작으로 자망·부표에 어구보증금제 도입 확대, 향후 어구관리제도의 정책 방향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될 예정이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정부는 그간 폐어구 관리를 위해 전담조직을 설치하고 어구순환관리 대책을 마련해 해양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노력해 왔다”며 “폐어구를 본격 관리할 수 있도록 공감의 장을 통해 어업인, 환경단체, 각계 전문가들과 직접 소통하고 어구관리 정책이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