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민방위 대피시설, 어린이 놀이시설, 푸드트럭 허가구역에 사물주소가 부여돼 검색을 통해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행정안전부는 민방위 대피시설, 어린이 놀이시설, 푸드트럭 허가구역 3종의 시설물(장소)에 사물주소를 부여한다고 30일 밝혔다.
사물주소는 건물이 아닌 시설물(장소)의 위치를 편리하게 찾기 위해 부여하는 주소다.
어린이 놀이시설은 유치원, 도시공원, 학교, 아파트 단지 등 보건복지부에서 지정한 공공 놀이시설로 전국 약 8천여곳이 있다. 푸드트럭 영업장소는 100여 곳이다.
사물주소는 주소정보 누리집(www.juso.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행안부는 2019년부터 지진 옥외 대피장소, 인명구조함 등 국민 생활안전과 관련된 시설물 20종에 사물주소를 부여했다.
경찰·소방 등 긴급구조기관 시스템에도 사물주소 위치·현황 등 데이터가 공유돼 있어 사물주소를 활용해 신고하면 긴급구조기관이 위치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해 출동할 수 있다.
행안부는 국민 다수가 사용하는 민간플랫폼에서도 간편하게 사물주소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카카오, 네이버 등 기업에 사물주소 데이터를 제공하고 민간 앱 등에서 사물주소를 조회할 수 있도록 협의하고 있다.
노홍석 균형발전지원국장은 "사물주소는 국민 안전과 생활편의를 더욱 촘촘히 메꿔주는 중요한 기반 정보다"며 "앞으로 더 다양한 시설물(장소)에 사물주소를 부여하고 민간 앱 연계을 통해 사물주소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