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세상을 밝게 비추는 힘, 사회를 이롭게 만드는 생각, 더 나은 삶과 미래의 행로를 명쾌하게 그리는 일. (사)한국시각정보디자인협회(이하 VIDAK·비닥, https://vidak.or.kr/) 장용선 회장이 정의하는 ‘디자인’이란 단순한 아름다움과 심미적 설계에서 한걸음 진보한 나눔과 상생의 포용적 가치까지 담아낸다.
그리고 이는 지난 2월, 장 회장 취임을 계기로 닻을 올린 제16대 VIDAK 의 슬로건 ‘It's with VIDAK(비닥이 함께 합니다)’과 그 뜻을 나란히 한다.
우리나라 시각디자인 발전을 이끌어온 300여 명 디자이너들이 합심해 창립된 VIDAK은 국가 산업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며, 국내 시각디자이너들을 위한 소통·성장의 구심점이 되어 왔다.
VIDAK의 공식 설립은 30년 전이지만, 그 역사의 뿌리는 훨씬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때는 지금으로부터 40년 전, 난립하고 있던 기존 협회들이 해산하고, VIDAK의 전신 격인 COGDA가 탄생했다. 이후 1994년 6월, KSVD, COGDA를 포함한 대표적 디자인 협회들이 통합하며 출범한 협회가 바로 오늘날의 VIDAK이다.
다시 말해 VIDAK은 통·폐합의 진통을 이겨내며, 유구한 전통을 지켜온 우리나라 시각디자인 산업의 대표적 단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제로 VIDAK은 ▲국내 시각 디자이너 권익보호·상호교류 증진 ▲국내·외 관계 기관 및 단체와의 협력 ▲국내외 디자인 관련 정보 수집 및 연구 ▲데이터베이스화 및 보급 ▲시각정보디자인 각종 연구개발 등 다채로운 사업 추진에 역량을 모았다.
특히 장 회장의 취임에 힘입어 협회 운영에는 더욱 활기가 더해졌고 ▲국제전 참석 ▲MOU 체결 ▲사회공헌 활동 등 다수의 성과를 도출해냈다.
현재 다인커뮤니케이션 대표이사이자 한국미술협회 디자인분과 부이사장,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자문위원, 직업능력평가원 평가위원, 경기주택공사 문화예술 자문위원, 아트뷰 기획 공동대표 등을 역임하며 우리나라 디자인산업 발전에 혁혁한 공을 세운 장 회장은 진취적이고 수평적인 리더십의 소유자란 평가다.
이를 토대로 장 회장은 먼저 제16대 VIDAK을 ‘분과’ 중심 운영으로 전환하며, 출범 6개월 만에 다채로운 행사 진행을 이뤘다.
일러스트 분과·콘텐츠융합 분과가 공동으로 주관한 ‘비닥 앤 퍼지오 국제교류전’, 홍보 분과 주관 ‘2024 루프탑 비닥교류 행사’, 학술 및 교육 분과 주관 ‘디자인 앤 AI 컨퍼런스’가 그 일례다.
여기에 지난 7월 말에는 우즈베키스탄에서 국제학술대회 ‘IICCC 2024’와 ‘2024 VIDAK : [Korea] 30th Anniversary International Exchange Exhibition’을 국제기술문화진흥원(학회장 강정진)과 공동 개최하며, 뜨거운 반향을 일으켰다.
본 행사는 구소련 시절 고려인들이 강제로 이주했던 아픈 역사적 기억을 간직한 우즈베키스탄에서 열려 의미하는 바가 실로 컸다. 타슈켄트 기술정보대학에 한국의 이미지를 주제로 작품들이 전시됐고, 이후에는 작품들이 기증돼 현지 대학생들을 통해 우즈베키스탄 전역에 우리 콘텐츠가 자연스럽게 홍보되는 효과도 거뒀다.
무엇보다 금번 전시 콘텐츠는 중소 패션업계 지원을 목적으로 상품화됨에 따라 발생 저작권료는 흥사단 독립유공자 지원사업에 매년 전액 기부할 것을 약속해 VIDAK이 품은 사회적 책임 수행에 대한 진정성이 돋보였다.
나아가 VIDAK은 오는 12월, DDP(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한국을 입다’란 취지로 마련된 국제교류전 준비에 한창이며, 서울을 상징하는 이미지 전시콘텐츠를 상품화해 관련 중소기업들에게 힘을 보태겠다는 포부다. 금번에도 마찬가지로 콘텐츠 이익금은 취지에 부합한 단체에게 전액 기부된다.
기세를 이어 VIDAK은 독일디자인 연맹 및 그랜샨재단(회장 Boris)과 MOU를 체결해 내년 5월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크리에이티브디자인위크’에 다양한 기업들과 참여할 예정이며, 9월엔 오스트리아 바덴에서 음악·미술·디자인 등 다분야 예술이 어우러진 한국-오스트리아 간 국제적 규모 예술행사를 케이공감아트교류협회(회장 정건영)와 함께 진행 중에 있다.
한마디로 ‘It’s with VIDAK’, 비닥이 함께하는 산업계에 새로운 활력과 에너지가 창출되며, 사회 전반을 돋보이게 만드는 시각정보디자인의 가치가 드높아진다.
장 회장은 “세상이 빠르게 변화하는 만큼 생성형 AI가 사회문화에 커다란 충격을 안겼지만, 아직 초기 단계에 불과하다”며 “이럴 때야 말로 다가올 기술진화에 선제적 대응을 갖추고, 젊은 디자이너들이 중심이 되어 디자인산업을 이끌어 가야 한다”고 목소리에 힘을 줬다.
덧붙여 “후학들에게 좋은 환경과 활동기회를 제공하고자 우리 협회는 다양한 사업분야와 협업해 한국 디자인의 가치를 상승시킬 것”이라며 “사회가 필요로 하는 선한 디자인의 영향력을 전파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겠다”는 올곧은 다짐을 되새겼다.
한편 (사)한국시각정보디자인협회(VIDAK·비닥) 장용선 회장은 국내 시각 디자이너의 권익신장과 동반성장을 위한 협력 네트워크 확립에 헌신하고,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연구개발 사업 추진에 앞장서 시각디자인산업 저변확대를 이끌며, 중소산업체 지원과 사회공헌 활성화 선도에 기여한 공로로 ‘2024 자랑스러운 한국인 대상(시사투데이 주최·주관)’을 수상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