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올해 첫 일본뇌염 환자가 발생함에 따라 예방접종 대상자는 접종을 받도록 한다.
질병관리청은 올해 3월 30일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7월 25일 경보발령 이후 일본뇌염 환자 2명이 동시에 확인됐다고 3일 밝혔다.
올해 신고 된 두 환자 모두 60대로 발열, 구토, 인지저하, 어지러움 등 증상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해 현재 입원치료 중이다.
대구보건환경연구원과 질병관리청의 확인진단 검사 결과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해 4배 이상 증가해 29일 확진됐다.
역학조사 결과 최근 제초작업, 논밭농사 등 야외활동 이력이 있고 모기물림도 확인됐다. 모두 일본뇌염 예방접종력은 없었다.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미나리밭,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서 서식하는 암갈색 소형모기로 주로 야간에 흡혈활동을 하고 우리나라 전 지역에서 8월부터 10월까지 활동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일본뇌염 매개모기 감시체계 운영 결과 8월말 기준 평균 322개체로 전년 271개체 대비 높게 확인됐다.
국내 일본뇌염 환자는 9~10월에 환자의 80%가 집중했고 10명 중 8~9명은 50대 이상이었다.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발열,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지만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돼 고열, 발작, 목 경직, 착란, 경련, 마비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난다. 이 중 20~30%는 사망할 수 있다. 특히 뇌염으로 진행될 경우 환자의 30~50%는 손상 부위에 따라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겪을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일본뇌염은 효과적인 백신이 있어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인 2011년 이후 출생자는 표준 예방접종 일정에 맞춰 접종해야 한다. 또한 과거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없는 18세 이상 성인 중 논· 돼지 축사 인근에 거주하거나 비유행 지역에서 이주해 국내에 장기 거주할 외국인, 일본뇌염 위험국가 여행자 등도 예방접종을 권장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야외활동 시에는 모기기피제를 사용하고 외출은 모기가 활동하는 일몰 직후부터 일출 직전에는 자제한다. 실내 모기 침입 예방을 위해 방충망 정비·모기장 사용 등도 미리 해둔다. 특히 예방접종 대상자는 접종일정에 맞춰 접종받도록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