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선아 기자] 정부가 지역을 대표하는 국제회의를 유치하기 위해 장기간 전략에 나섰다. 국제회의 유치를 위한 해외 전담 조직망도 2배 확대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8일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42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우리나라가 세계 국제회의산업에서 중추 국가로 도약할 수 있도록 마련한 '제5차 국제회의산업 육성 기본계획(2024~2028)'을 발표했다.
먼저 지역의 국제회의 전담조직이 지역전략산업과 연계한 대표(시그니처) 국제회의를 발굴해 '한국판 다보스 포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대 20년 간 집중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지역의 국제회의 개최역량 균형 발전을 위해 국제회의복합지구 제도도 개편한다. '예비 국제회의 지구'를 신설해 발전 가능성은 있으나 법적 요건으로 지원에서 소외됐던 지역의 성장을 돕는다. 국제회의 유치와 개최 과정에서 인근 지역과 협업할 수 있도록 '국제회의 광역권 협력체계'를 구축해 지역의 역량 결집을 강화한다.
해외유치 전담 조직망도 확대한다. 국제기구 본부와 국제회의 유치 전략 국가를 대상으로 한국관광공사 해외 지사에 설치된 유치 전담 조직망을 기존 9개에서 18개로 2배 확대해 유치 주도권을 공고히 한다는 계획이다.
국제회의 주요 참가자들이 입국 우대심사대를 이용하도록 편의를 제공하고 케이-컬처 체험관광 콘텐츠도 발굴해 국제회의 참가자의 만족도를 높여 재방한도 유도한다.
국제회의 기업이 해외 진출 시 현지 정착부터 투자유치까지 수요 맞춤형으로 지원하도록 해외거점 국제회의 전문 수출지원센터를 18개 개설한다.
국제회의가 자주 열리는 호텔, 콘도미니엄 등의 시설도 국제회의 시설업 대상에 포함될 수 있도록 「관광진흥법」상 국제회의시설업 기준을 완화한다.
국제회의산업 범위를 더욱 명확히 설정하고 관련 업종을 분야별로 구체화한 '국제회의산업 특수분류'를 제정해 산업 현황에 대한 정확한 기초통계를 확보할 계획이다. 현재 지정된 국제회의복합지구(7개)와 국제회의도시(11개)를 대상으로 성과평가제도를 도입해 운영 내실화도 도모한다.
이를 통해 2028년까지 국제회의 개최 건수를 2019년 대비 1113건에서 1400건으로 세계 1위, 외국인 참가자 수는 83만명에서 130만 명으로, 외화획득액은 20억 달러에서 30억 달러(약 4조원)를 달성할 계획이다.
문체부 장미란 제2차관은 "제5차 국제회의산업 육성 기본계획은 우리 국제회의산업이 세계 무대에서 재도약하는 단계에서 제시한 정책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도 국제회의산업을 이끌어갈 다양한 정책 방안을 지자체, 민간과 협업해 만들어 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