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지연 기자] 변리사, 관세사 등 국가전문자격시험에서 인정돼 온 자동 자격부여․시험과목 면제와 같은 공직경력특례제도가 전면 폐지될 전망이다.
국민권익위원회는 '국가자격시험 제도·운영과정의 공정성 제고' 방안을 마련해 개별법령 소관 부처인 기획재정부‧고용노동부 등에 권고했다고 3일 밝혔다.
변리사, 법무사, 노무사 등 국가전문자격시험에는 공직경력만으로 시험 없이 자격을 자동 부여하거나 시험과목을 면제하는 규정이 있다. 이를 두고 공직사회 스스로 공정문화 정착을 저해한다는 비판과 함께 과도한 특례라는 논란이 오랜 기간 있었다.
실제로 2021년 9월 제58회 세무사 2차 시험에서 공무원만 면제받은 과목의 과락률이 82.1%로 높게 나타나면서 국가전문자격시험에서 공직경력 특혜를 폐지해 달라는 응시생들의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권익위는 현재 자격 자동부여나 시험과목 면제 등 특례규정이 반영된 개별법상 국가전문자격시험 15종에 대한 공직경력인정 특례를 폐지한다. 법무사, 세무사, 관세사, 행정사, 변리사, 공인회계사, 공인노무사, 소방시설관리사, 경비지도사, 감정평가사, 손해평가사, 손해사정사, 보험계리사, 보세사, 소방안전관리자가 해당된다.
또한 파면이나 해임 등 징계처분 받은 경우 공직경력 인정 대상에서 제외하고 공직경력인정 제외 징계처분 사유에 성범죄․채용비리 등을 포함하고 확인․검증 절차 근거도 마련한다.
공직 퇴임 자격사들이 전관 경력을 악용해 시험으로 자격을 취득한 자격사들과의 경쟁에서 공정성을 훼손한다는 비판을 해소하기 위해 공직 퇴임 자격사는 전 소속기관 수임을 일정 기간 제한하는 근거 규정도 신설한다.
권익위 김태규 부위원장은 "국가전문자격시험에서의 공직특례 폐지를 통해 청년들이 공정한 기회를 보장받고 전문가 시장에도 활발하게 진입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