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ㄱ씨는 얼마 전 IC 운전면허증으로 교체 발급 받았지만 앱 설치가 귀찮아 실제로 모바일 운전면허증 사용은 하지 않았다. 그러나 평소에 자주 사용하는 삼성월렛에 모바일 신분증이 추가된다는 소식을 듣고 신용카드와 함께 등록해 지갑 없이 다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행정안전부은 20일 삼성전자와 함께 모바일 신분증 민간 개방 시범서비스의 시작을 알리는 '모바일 신분증 민간 개방 삼성월렛 오픈 행사'를 진행했다.
시범서비스가 개시됨에 따라 20일부터 국내 가입자 수 1700만여 명의 '삼성월렛'(구 삼성페이) 앱에서 모바일 운전면허증과 국가보훈등록증 2종을 발급받을 수 있게 된다.
삼성월렛을 통해 발급받은 모바일 신분증은 삼성전자 스마트폰에 내장된 앱 프로세서(AP) 칩셋 내 보안 저장 공간에 안전하게 보관돼 외부 침입이나 악성 프로그램 등의 위협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모바일 신분증은 개인 스마트폰에 발급하는 법정 신분증이므로 공공기관, 금융기관, 공항, 선거, 렌터카, 식당, 편의점 등 실물 신분증이 사용되는 모든 곳에서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지문이나 안면인식 같은 생체 인증 기술이 적용되고 도난이나 분실 신고를 하면 모바일 신분증이 자동으로 정지되기 때문에 도용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어 플라스틱 신분증보다 안전하다는 것이 행안부 설명이다.
행안부는 2021년 모바일 공무원증 앱을 만들어 모바일 공무원증에 처음 서비스했다. 이어 2022년 모바일 운전면허증, 지난해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 등으로 확대했다. 올해 2월 기준 모바일 운전면허증 약 221만 건,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 약 1만 건 총 222만여 건의 모바일 신분증이 발급됐다.
행안부는 향후 주민등록증과 재외국민증, 국내 거주 외국인 대상의 외국인등록증 등으로 모바일 신분증을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번 오픈행사에는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과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 사장, 성창훈 조폐공사 사장이 참석했다.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 사장은 "앞으로도 행정안전부와 적극 협업해 신분증 종류를 확대하고 민관 융합형 서비스를 창출함으로써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을 적극 지원하다"고 했다.
행안부 이상민 장관은 "민간의 풍부한 창의력이 국민 삶을 위한 혁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공공서비스 민간 개방과 협업을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