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한별 기자] 정부가 국내 만화·웹툰 산업 성장세의 힘입어 만화·웹툰을 케이-콘텐츠의 차세대 주자로 보고 적극 지원한다.
문화체육관광부 유인촌 장관은 23일 서울 아트코리아랩에서 '만화·웹툰 산업 발전 방향'을 발표했다.
만화·웹툰 산업 시장규모는 2022년 2조624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3%p(포인트) 성장했다. 우리 웹툰 플랫폼의 해외 진출에 힘입어 해외 수출 규모도 1억764만 달러로 전년 대비 31.3%p 증가하며 처음으로 1억 달러를 돌파했다.
지난해 전 세계 웹툰 플랫폼 매출 상위 5개 중에는 국내기업 4개가 이름을 올렸다. 카카오픽코마는 일본에서의 성공을 기반으로 해외 수익 6억 달러를 기록했고 네이버웹툰은 미국 내에서 아마추어 웹툰 작가들의 연재공간인 '캔버스'를 운영하는 등 한국 플랫폼들이 세계 웹툰 시장에서 영향력을 키워가고 있다.
우리 기업이 진출하고자 하는 해외 시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실제 진출 시 컨설팅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신규사업도 추진한다. 지난해 실시한 웹툰 실태조사에서 '해외 진출 시 가장 지원이 필요한 사항'으로 <통역 및 번역 지원>이 꼽힌 것을 감안해 올해 관련 예산을 전년 6억원에서 10억 원으로 확대한다.
만화·웹툰산업의 빠른 성장과 함께 인력 수요도 증가함에 따라 '한국영화 아카데미', '게임인재원' 등을 벤치마킹해 창작·산업·번역 인력 양성 사업을 추진하고 '만화·웹툰 인재 아카데미' 설립도 추진한다.
올해는 기획·제작 피디(PD), 2차 사업화를 담당할 전문인력 등 현장이 필요로 하는 산업인력 양성 과정을 새롭게 만든다. 내년부터는 슈퍼 지식재산(IP)을 만들어낼 창작 인재를 매년 30여 명씩 배출할 소수정예 교육과정을 신설한다. 만화·웹툰의 해외진출이 활발해짐에 따라 웹툰에 특화된 번역가를 양성하고 번역 및 감수에 대한 컨설팅을 수행하는 '번역 지원센터' 설립도 추진한다.
만화·웹툰계 대표축제도 국내에서 개최한다. 웹툰 종주국이자 세계적으로 인기있는 만화·웹툰 지식재산(IP)을 보유하고 있지만 제대로 된 만화·웹툰 축제가 없다는 업계와 독자들의 아쉬움을 반영해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축제를 가을쯤 개최할 예정이다.
축제 기간에는 국제적 권위의 작품상과 산업 종사자들에 대한 상을 수여하는 '국제 만화·웹툰 시상식'도 열어 장차 만화·웹툰계의 '칸 영화제'와 같은 권위가 있는 시상식이자 축제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지원 조직과 예산도 강화한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만화웹툰산업팀을 신설해 창작·유통·투자·해외 진출을 지원할 조직을 보강할 계획이다. 또한 창작자·업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만화진흥위원회'를 구성해 업계와 창작자들과 소통하는 공식적이고 대표성 있는 채널도 구축한다.
이외에도 2012년 제정된 이후 급격한 산업환경의 변화에도 큰 변화가 없었던 현행 만화진흥에 관한 법률을 만화·웹툰 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로 전면 개정을 추진해 만화·웹툰 분야가 산업으로서 발전할 수 있는 법·제도적 기반도 마련한다.
문체부 유인촌 장관은 "이번에 발표한 전략과 추진과제들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현장에서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문체부가 가용할 수 있는 자원을 모두 동원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