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올해 중학교 2학년이 치르게 될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국어, 수학, 사회·과학탐구, 직업탐구 영역에서 선택과목이 모두 사라진다. 현행 9등급인 고등학교 내신 체계는 5등급으로 바뀐다.
교육부는 10일 이러한 내용의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 시안'을 국가교육위원회에 보고하고 의견 수렴을 요청했다.
우선 2028학년도 수능 국어, 수학, 사회·과학탐구, 직업탐구 영역은 모두 선택과목 없이 통합형으로 보게 된다. 모든 학생을 유불리 없이 동일한 내용과 기준으로 평가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수능 사회·과학탐구에서 응시자 모두 '통합사회'·'통합과학'을 보도록 해 과목 간의 벽을 허물 계획이다. 개별 과목의 지식을 묻는 암기 위주 평가에서 벗어나 사회·과학의 기본·핵심 내용들을 바탕으로 논리적 사고역량을 키우는 융합 평가로 개선하고 변별력은 유지하겠다는 것이다.
교육부는 추가 검토안으로 '심화수학' 영역 신설 방안도 제시했다. 심화수학 영역은 첨단 분야의 인재 양성을 위해 '미적분Ⅱ'·'기하'를 절대평가 한다는 내용이다.
이와 함께 2025년부터 고교 내신 평가 체제를 기존 9등급에서 5등급으로 바꿀 계획이다. 모든 학년과 과목에 일관되게 학생의 성취수준에 따른 5등급 절대평가(A~E)를 시행하면서 절대평가가 안정적으로 시행될 수 있게 성적 부풀리기에 대한 안전장치로 상대평가 등급(1~5등급)을 함께 기재하겠다는 것.
이외에도 고교 내신 평가에 일반적으로 활용됐던 지식 암기 위주의 5지선다형 평가에서 벗어나 미래에 필요한 사고력, 문제해결력 등의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논·서술형 평가를 확대한다. 과목별 성취수준을 표준화함으로써 내신 절대평가에 대한 신뢰도도 높인다.
교육부는 2028 대입개편 시안에 대해 국가교육위원회를 중심으로 심층 논의 및 의견 수렴을 진행한 후 올해 안으로 개편안을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대입제도를 구성하는 두 축인 수능과 고교 내신이 공정과 안정을 바탕으로 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학생, 학부모, 고교, 대학 모두의 의견을 경청하며 더 나은 제도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