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보이스피싱 신고는 전화는 '112', 인터넷은 '보이스피싱지킴이' 사이트로 일원화돼 한 번의 신고로 사건처리부터 피해구제까지 원스톱으로 처리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26일 이러한 내용의 '전기통신금융사기(보이스피싱) 통합신고·대응센터'를 개소했다고 밝혔다.
현재는 보이스피싱 피해신고는 112(경찰), 지급정지는 1332(금감원), 범행수단 차단은 118(KISA)로 나눠져 있어 동일한 내용을 각 기관에 여러 번 반복해서 신고해야 한는 불편함이 있었다.
보이스피싱 통합신고·대응센터는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금융감독원이 함께 운영한다.
보이스피싱 피해 시 112에 신고하기만 하면 사건접수 뿐만 아니라 악성 앱 차단, 피해구제(지급정지) 등을 한 번에 처리 받을 수 있게 된다.
최근 '악성앱 스미싱'이 기승을 부리고 있는 가운데 신종수법에 대응하기 위해 센터를 중심으로 예방, 대비, 대응, 사후관리 등 범정부 대응 4단계 프로세스를 운영해 효율적으로 대응하게 된다. 범죄조직 검거 시에도 신고되지 않은 사건까지 분석·추적해 여죄의 단서로 활용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윤희근 경찰청장은 경과보고를 통해 "보이스피싱은 개인의 재산을 빼앗고 고통과 상처, 사회적 불신까지 초래하는 악성 범죄 그 자체다"며 "통합신고대응센터가 보이스피싱 범죄 근절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방기선 국무조정실장은 "피싱 범죄는 경제적 살인으로 간주해 대응해야 하는 악질적 범죄다. 통합신고대응센터가 잔 세계적으로 가장 우수한 범부처 합동 대응 기구의 표본이 될 수 있도록 비상한 각오로 근무해 달라"고 했ㄷ.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