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전 세계에 약 2만마리만 생존해 있는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 '검은머리갈매기'의 번식 개체군 약 11%는 국내에 서식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은 송도신도시 매립지에서 다수의 소형 무인기를 이용해 검은머리갈매기의 국내 번식 개체군을 분석한 결과 1456개 번식쌍, 약 2900여 마리를 확인했다고 5일 발표했다.
검은머리갈매기는 전 세계 2만2천~2만3천마리가 남은 것으로 추정되는데 약 11.4%가 계속해서 우리나라 서해안에 번식을 위해 오는 것으로 밝혀졌다. 번식기는 4~6월로 알은 2~3개를 낳는다.
국내 번식집단은 1998년 시화 매립지에서 처음 발견됐다. 갯벌이 넓은 간석지나 매립지 등에서 다수가 번식하지만 포식자에 의한 번식 실패, 개발 등의 이유로 2~3년마다 번식지를 옮겨 다니고 있다.
그동안 검은머리갈매기는 사람이 접근하면 집단적으로 방어 행동을 보여 서식 번식개체군의 정밀한 개체수를 확인하기가 어려웠다.
국립생태원은 국내 핵심 번식지인 송도신도시 매립지에서 다수의 소형 무인기를 이용해 개체수를 정밀 항공조사 방식으로 조사했다. 정밀 항공조사는 검은머리갈매기의 포란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검은머리갈매기, 검은머리물떼새, 쇠제비갈매기 등 함께 서식하는 종들과 포란 둥지 유무까지 구분 가능한 항공사진 1,807장을 확보해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