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인공 증식한 멸종위기 참달팽이 20마리가 홍도에 방사됐다.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은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연구시설에서 인공증식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참달팽이 20마리를 8일 오전 전남 신안군 홍도 원서식지에 방사한다고 밝혔다.
멸종위기종복원센터는 2018년 홍도에서 참달팽이 5마리를 도입해 국내에서 처음 기초생활사를 규명해 2020년 12마리를 인공증식하는 데 성공했다. 2년 후인 현재 참달팽이 수는 총 65마리로 늘어났다. 이번 방사에는 가장 건강한 패각길이 약 1.5-2cm의 준성체 20마리가 선택됐다.
생태원 연구진은 이번에 방사하는 참달팽이 20마리에 무선개체식별장치 발신기(PIT-tag)를 부착할 예정이다. 또한 홍도 야생에서 서식하는 20마리에도 발신기를 부착해 월별 생존, 성장률, 이동특성 등의 자료를 인공증식 개체와 비교 분석하는 연구를 통해 야생 적응성을 평가할 계획이다.
참달팽이는 성장과 생존에 필수적인 칼슘원을 섭취하는데 유리한 민가 인근 풀숲 지역에 방사될 예정으로 동면 시기 이전인 10월까지 매달 정기적으로 조사할 계획이다.
2005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된 참달팽이는 다도해해상 국립공원에 속한 홍도 마을 인근에서 주로 발견되는 고유종이다. 이 중 개체밀도가 가장 높은 주요 서식처에서도 약 5마리/100m2 정도만 발견될 정도로 개체군의 수가 매우 적다.
참달팽이는 암수한몸(자웅동체)으로 허파 호흡을 하는 육상달팽이다. 다른 개체와 짝짓기를 통해서 서로 정자를 교환해 수정 후 한 번에 알을 낳는다.
조도순 국립생태원장은 “이번 참달팽이 방사는 ‘환경부 참달팽이 보전계획(221~2027)’에 따른 것으로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서는 지역 주민들의 협조가 절실하다”며 “주민들이 실수로 참달팽이를 포획하는 일이 없도록 홍보와 교육을 병행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