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국내에서 처음 메타버스(가상공간)에서 아바타에게 디지털 의류를 입힌 후 마음에 들면 구매까지 할 수 있는 메타패션(디지털패션)이 오는 11월 출시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0일 오후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장영진 1차관과 유명 패션디자이너, 셀럽 등이 참석한 가운데 메타패션 제작 발표회를 열었다.
메타패션은 현실에서는 옷감의 재질, 색감 등 제약으로 실제 구현이 힘든 패션을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이미지나 동영상으로 제작한 것이다.
메타버스 확산과 함께 시장규모가 커져 2030년 550억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MZ세대들이 메타패션을 친환경 패션이자 XR(확장현실) 경험으로 보고 있어 전망이 밝은 것으로 평가된다.
산업부는 청바지 한 벌 제작에 물 7천리터가 소요되나 메타패션은 디자이너가 마시는 카페라떼 8잔이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산업부 장영진 차관은 “메타버스상 아바타를 통해 디지털 의류를 입어보고 주문하면 바로 실물 옷을 제작, 배송하는 개인맞춤형 패션시스템을 구현하면 우리가 독보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며 “메타패션에서 글로벌 브랜드를 창출하고 시장을 선점한다면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우리의 염원인 패션 선진국 진입도 가능하다”고 했다.
메타패션을 직접 제작하는 국내 유명 패션디자이너는 김보민, 황이슬, 고태용 3인이다.
국내에서 처음 세계 4대 패션위크에 동시 초청받은 김보민 디자이너는 모델 재시와 함께 ‘사람과 세상을 아름답게’라는 주제로 10명의 동화 속 주인공들을 통해 교육, 평등, 건강 등 유엔(UN) 지속가능개발목표의 메시지를 담은 메타패션 작품을 선보였다.
BTS가 착용한 모던 한복을 제작해 화제를 모았던 황이슬 디자이너는 가수 겸 배우 한선화와 함께 ‘시간여행자’라는 주제로 수백년전 과거의 복식을 현대적인 스타일로 재해석한 작품을 소개했다.
2021년 한국디자이너패션어워즈 최우수상 수상자인 고태용 디자이너는 가수 라비와 함께 ‘민화와 클래식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전통 민화 캐릭터들이 살아 움직이는 듯 한 역동적 감성을 작품에 담아 선보였다.
메타버스 제작 과정에는 세계적인 3D 가상의류 제작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클로버추얼패션이 기술적 지원을 맡았다. KT는 메타패션 유통 플랫폼을 구축하고 소비자들이 구매 착장 할 수 있는 앱을 개발해 배포할 예정이다.
아울러 산업부는 이날 제작발표회에 이어 패션테크 클러스터 조성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사업기획단 출범식을 개최했다. 조성안이 9월쯤 수립되면 지자체 설명회를 개최해 연내 대상 지자체를 선정한 후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클러스터 구축사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