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환경부가 녹조를 일으키는 질소, 인 등 영양염류가 수계로 유입되지 않도록 선제 조치한다.
환경부는 녹조 발생을 예방하고 수질을 관리하기 위한 ‘여름철 녹조 및 수질관리 대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한다고 25일 밝혔다.
기상청은 올해 여름은 예년에 비해 기온이 높고 강수량은 비슷할 것으로 예상돼 6월부터 녹조가 발생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위해 환경부는 녹조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인 영양염류 유입을 집중적으로 저감해 녹조 발생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여름철 공공 하‧폐수처리장 162곳에 수중에 포함된 인의 총량 처리를 강화해 '총인 방류량'을 저감한다. 무인항공기, 환경지킴이 등 다양한 감시수단도 활용해 하천변 오염원도 감시한다.
지자체 합동으로 홍수기(6월 21일~9월 20일) 전 오염시설을 집중 점검해 오염원 유출을 사전에 억제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아울러 녹조가 자주 발생하는 낙동강과 대청호에는 맞춤형 추가 대책을 시행한다. 낙동강 지역에서는 주민 중심의 협의체를 구성해 비점오염물질 배출 저감을 위한 주민교육을 실시하고 야적 퇴비 제거와 방수포 설치를 통해 오염물질의 하천 유출을 최소화한다. 대청호 지역에서는 수상퇴치밭과 조류제거선 운영 등을 통해 생물학적으로 영양염류를 저감해 녹조 발생을 억제할 예정이다.
그간 운용해 왔던 전국 주요 지점 29개소의 조류경보제를 강화하고 한강, 낙동강, 금강 등 11곳의 녹조 발생량을 예측해 관련 기관에서 선제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녹조가 발생하면 환경부, 지자체, 유관기관으로 구성된 ‘녹조대응 상황반’을 통해 녹조 발생에도 신속히 대처한다.
또한 녹조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물 순환장치, 수면포기기(수차) 등의 녹조 제거장비를 집중적으로 운영하고 오염원과 녹조 감시를 강화한다. 녹조 대량 발생 시 물이용에 장애가 없는 범위에서 댐 여유수량을 적기에 방류하고 탄력적으로 보를 운영한다.
아울러 국민이 안심하고 물이 마실 수 있도록 취수구 인근에 조류 차단막을 설치해 정수장으로 조류 유입을 최소화하고 분말활성탄 등의 정수처리를 강화해 조류독소와 맛‧냄새 물질을 철저히 제거할 방침이다.
류연기 환경부 물환경정책관은 “녹조 발생을 줄이며 여름철 안전한 먹는물을 공급하고 건강한 수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