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재 기자] 통일부 남북통합문화센터는 오는 13일 오후 2시 개관 1주년 기념행사를 개최한다.
기념행사는 △기념식 △남북 출신 예술인의 축하 공연 △아리랑을 주제로 한 남북통합문화 포럼 순으로 진행된다. 탈북민과 지역주민 30여명이 방역수칙을 준수한 가운데 유튜브(Youtube)를 통해 생중계한다.
부대행사로 △탈북민 작품 전시회 △평화 통일 시화전 △탈북민과 일반주민이 참여하는 남북생애나눔대화 △온라인 한반도 기자회견 △전통 향낭을 제작하는 토탈공예 강좌 △음식나눔 봉사활동 등을 진행한다.
센터는 지난 1년간 탈북민과 일반주민이 직접 또는 문화를 매개로 소통하고 통합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전개 해 왔다.
남북생애나눔대화 등 탈북민과 일반주민의 소통을 위한 14개 과정에 6만1200여명이, 남북통합문화포럼 등 통합문화 확산을 위한 24개 과정에 3만8800여명이 참여했다.
탈북민의 문화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심리상담과 언어교육을 1,470명을 대상으로 운영했고 봉사단체, 소모임, 통합문화 콘텐츠 창작에 53곳을 지원했다. 자체적으로 음식나눔과 정성나눔 봉사활동도 16회 실시했다.
한편, 센터 1주년을 계기로 센터 이용객들이 보다 흥미롭게 통합문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통합문화체험관에 북한요리 만들기, 평양에서 활쏘기 등 다양한 가상현실(VR) 체험물을 준비하고 기획전시관에 탈북민 시각예술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센터 내 체험 콘텐츠를 새롭게 개편했다.
운영 과정은 코로나19 상황에 적극 대응해 비대면 과정의 비중을 지난해 57%에서 올해 72%로 확대하고 프리한남북, 하나로런닝맨 등 새로운 비대면 통합문화 콘텐츠를 다채롭게 개발해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탈북민과 일반주민의 소통 창구 △남북생애나눔대화 △아코디언 △캘리그라피 △명상 등 대면 과정을 소규모 인원으로 구성해 수시로 운영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센터가 탈북민과 일반주민이 일상의 문화생활 속에서 서로 소통하고 화합함으로써 모두가 행복한 사회를 만들어나가는 데 일조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