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코로나19로 어려움에 처한 중소 자동차 부품기업을 위해 4,200억원이 투입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11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서 완성차 기업, 기술보증기금, 지자체 등이 참여하는 ‘자동차 부품업계 지원을 위한 상생 특별보증 협약식’을 개최했다.
이는 신용등급이 낮은 중소 부품기업, 해외 공장 생산차질로 인해 유동성 부족을 겪고 있는 중견기업 등 정책의 사각지대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는 목소리를 반영한 조치다.
정부, 지자체, 완성차 업계는 5천억원 이상의 자동차 부품기업 금융지원 상생 프로그램을 신설하기로 했다. 완성차 기업이 240억원을 출연하고 정부와 지자체가 각각 200억원, 95억원을 출연한다. 기술력과 안정적인 납품처를 확보하고 있지만 코로나19 피해로 신용등급이 하락해 유동성 확보가 어려운 기업 중심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식은 기술보증기금을 통해 중소기업에 특화된 4,200억원 규모의 보증프로그램을 가동하기 위한 것으로 완성차 업계가 140억원, 정부가 100억원, 지자체가 약 70억원을 동 프로그램에 출연할 예정이다.
지원대상은 완성차 업계, 지역별 기술보증기금 영업점 등이 추천하는 1~3차 협력업체 중 자산규모 1천억원 이하, 상시 근로자 1천명 이하의 부품기업을 대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신용등급 보다는 해당 기업의 업력, 기술역량, 납품기업 확보 여부 등을 중심으로 지원대상 기업을 결정할 예정이다.
기업당 지원금액은 연간 매출액의 4분의 1~3분의 1 수준으로 운전자금의 경우 최대 30억원, 시설자금 최대 100억원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동 보증 프로그램은 18일부터 전국 기술보증보험 영업점에 상담과 신청을 할 수 있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말 중기부의 10번째 자발적 상생협력기업에 선정돼 자동차 부품산업 지원, 스타트업과 자동차 부품업계의 연결을 위한 협력 등도 적극 추진해 오고 있다.
산업부 성윤모 장관은 “부품업체에 대한 유동성 지원망을 촘촘하게 구축해 기술력과 납품 역량은 있으나 신용등급이 하락한 기업도 위기를 견뎌 낼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중견 부품기업 지원을 위한 상생보증 프로그램도 금융위원회, 신용보증기금 등 관련기관과 협의를 거쳐 6월 중 신속히 출범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