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전국에 교통사고 발생건수가 높은 지점을 개선한 결과 사망자수는 68.3%, 교통사고 건수는 30.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는 도로교통공단과 함께 지난 2017년 개선사업이 완료된 전국 210개소를 대상으로 개선 전 3년 평균과 개선 후 1년간의 사고 현황을 활용해 분석했다.
이 결과, 사업 시행 전인 2014~2016년 3년간 연평균 사망자수는 38명이었으나 사업 시행 후인 2018년 12명으로 68.3% 감소했다.
교통사고 발생건수도 시행 전 연평균 2,001건에서 시행 후 1,398건으로 30.1% 감소해 신호기 증설, 무인교통단속장비 설치 등 간단한 교통안전시설 개선만으로도 효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개선사례를 보면, 강원도 속초시 교동 청초교 사거리는 신호등 위치가 멀어 교차로 내 신호위반 사례가 빈번함에 따라 개선 전 연평균 9.3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했다. 이에 운전자들이 신호등을 잘 인식할 수 있도록 전방 신호기를 추가 설치하고 무인단속장비를 설치한 후 교통사고가 1건으로 90% 감소했다.
또한 서울시 동대문구 휘경동 중랑교 교차로는 버스 전용차로가 운영되는 지역으로 유동인구와 교통량이 많아 개선 사업 전 연 평균 16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했다.
전방신호기를 설치하고 차로수를 3차로에서 4차로로 늘려 정체 시 무리한 교차로 진입을 예방하고 우회전하는 차량과 보행자 충돌을 방지한 후 교통사고가 6건으로 63% 감소했다.
한편, 행안부는 교통사고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1988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국 1만1,154개소를 개선했다. 올해도 302개소의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윤종진 행안부 안전정책실장은 “교통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곳은 사고 원인 분석에 따른 맞춤형 개선대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2022년까지 교통사고 사망자를 2017년 4,185명에서 2,000명으로 줄이기 위해 위해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을 지속 확대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