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앞으로 휠체어, 유모차 등 교통약자의 도시철도 이용 정보를 모바일 앱을 통해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 한국철도시설공단은 22일부터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을 통해 도시철도 역사의 교통약자 이동⸱환승 경로, 편의·안전시설 정보가 담긴 역사(驛舍)데이터를 공개한다.
공개되는 역사정보는 전국 도시철도 1,010개 역사 중 981개 역사를 대상으로 하고 있고 있다. 철도역사의 기본적인 도면과 함께 편의시설 위치, 엘리베이터·휠체어 리프트 등 이동경로 정보 등을 제공한다. 또한 발빠짐 사고예방을 위해 승강장의 탑승위치 별 승강장-차량 간격 정보도 포함하고 있다.
특히 국토부와 행안부는 카카오와 협업해 카카오 맵을 활용한 교통약자 이동경로 서비스를 시범 개발 중에 있다. 이르면 내년 초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교통약자는 도시철도역에서 환승할 때 일반인에 비해 약 10~20분 정도가 더 소요돼 이용에 불편을 겪고 있다. 우리나라 교통약자는 지난해 기준 29% 수준으로 향후 고령화에 따라 교통약자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그동안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은 편의시설 설치를 중심으로 추진됐으나 경로안내 서비스 등 소프트웨어 개발은 미진한 부분이 있었다. 이번 정보공개가 서비스 개발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