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학생부종합전형 지원자와 합격자들의 평균 내신 등급이 특목고냐 아니면 일반고냐에 따라 서열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5일 13개 대학에 대한 학생부종합전형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대 등 13개 대학을 대상으로 지난 4년간 202만여 건의 전형자료를 바탕으로 학생부 종합전형의 평가과정을 점검했다. 또한 고교별 합격자 현황을 고교유형이나 소재지, 부모의 경제적 여건에 따라 분석했다.
각 대학의 평균 내신등급을 분석한 결과, 학생부종합전형 전 과정에 걸쳐 지원자와 합격자의 평균 내신등급이 과학고, 국제고 등 특목고가 일반고 보다 높아 서열화 된 고교체제가 확인됐다.
또한 올해 한해만 자기소개서(자소서) 및 추천서의 경우 기재금지 위반이 366건, 자소서에서 표절로 추정되는 경우도 228건이 있었다.
학생부나 공통 고교정보(고교 프로파일)에 학생부 기재금지 정보가 편법으로 기재된 경우도 있었다. 공통 고교정보는 학생부종합전형을 실시하는 대학에서 지원자의 고등학교 활동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수집하는 자료로 고교에 대한 기본정보와 교육과정 등이 담겨 있다.
아울러 일부 대학의 경우 평가시스템 상 학생종합전형의 서류평가 시간이 10분에도 못 미쳐 평가가 부실하게 운영 될 우려도 있었다.
이와 함께 대입 전형의 제도개선이 필요한 사항도 다수 확인했다. 특기자전형에서 어학 능력 등을 자격과 평가요소로 설정해 특정고교 학생이 일부계열에서 합격자의 70%를 차지하는 사례가 있었다.
또한 13개 대학은 전국 평균대비 고른기회전형의 비중이 낮아 특기자전형을 축소하고 고른기회전형을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었다.
평가 세부요소와 배점 공개 수준이 미흡해 학생·학부모가 평가과정을 투명하게 확인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평가 정보 공개 범위를 확대할 필요성도 있었다.
평가를 실제 담당하는 입학사정관의 경우 위촉사정관이 과도하게 많고 전임사정관의 재직 경력도 길지 않다는 점에서 입학사정관의 전문성과 평가 역량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됐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학생부종합전형이 지난 10년 동안 양적으로 확대돼 왔지만 질적으로 관리되지 못했다. 학종이 국민들의 불신을 받는 데에 교육부의 책임이 큰 만큼 이번 기회에 반드시 개선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