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홍선화 기자] 학생부종합전형 비율이 높은 13개 대학에 대한 실태조사가 진행된다.
교육부는 26일 입시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을 포함한 입시제도 전반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한다.
실태조사는 학종 비율과 특목고·자율고 등 학생 선발 비율이 높은 건국대, 광운대, 경희대, 고려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포항공대, 춘천교대, 한국교원대, 홍익대 13개 대학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이를 통해 학종 운영 실태를 정확하게 확인해 오는 11월 중 발표 예정인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활용할 계획이다.
신속하고 철저한 조사를 위해 교육부, 대학과 교육청 담당자, 외부 전문가, 시민감사관 등으로 구성된 ‘학생부종합전형 조사단’이 운영된다. 학생부종합전형 조사단은 10월 말까지 입시자료에 대한 조사, 분석 등을 완료한 후 즉시 발표할 계획이다.
26일부터는 교육부 누리집에 ‘대학입시비리신고센터’를 신설해 입시 전반에 걸친 비리에 대해 집중 신고를 받는다. 조사 과정에서 대입 기본사항과 관계법령을 위반한 사실이 확인되거나 대학입시비리신고센터를 통해 충분한 비위 정황이 접수된 경우 사안을 판단해 특별감사로 전환할 계획이다.
아울러 종합감사를 받지 않은 16개 주요대학 중 홍익대학교에 대한 종합감사를 10월 14일부터 2주간 실시한다. 입시 전반에 대해 엄정하게 감사하고 법인, 인사·채용, 학사, 재산·회계, 시설·물품 등 대학운영 전반을 점검할 계획이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현재의 학종은 학부모의 경제력과 지위가 자녀의 입시에 직접 영향을 준다는 사회적 불신이 큰 만큼 과감한 개선이 필요하다”며 “교육부는 학종에서 학생부 비교과영역 폐지 등을 포함해 가능한 모든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 유관기관 의견수렴을 거쳐 개선방안을 발표할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