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질병관리본부는 29일 대구시에서 올해 첫 일본뇌염 환자가 확인됨에 따라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이 환자는 지난 8월 18일부터 발열 증상과 의식저하 등으로 입원치료를 받아 오다 21일 의심환자로 의료기관에서 신고해 보건환경연구원과 질병관리본부에서 두 차례 실험을 거쳐 29일 최종 확진 후 사망했다. 환자는 거동이 불편한 80대 여성으로 고혈압, 심장질환 등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일본뇌염 예방접종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질병본부는 올해 일본뇌염 환자가 처음 확인됨에 따라 축사와 물웅덩이 등 모기 서식지에 대한 추가적인 집중 방역소독을 전국 시·도 지자체에 요청할 계획이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린 경우 99% 이상이 무증상 또는 열을 동반하는 가벼운 증상을 보이지만 일부에서 치명적인 급성뇌염으로 진행될 수 있고 이 중 20~30%는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일본뇌염을 전파하는 작은빨간집모기의 개체수가 증가하는 9월부터 11월에 전체 환자의 90% 이상 발생한다. 또한 최근 5년간 일본뇌염 감시결과 일본뇌염 환자의 90% 이상이 40세 이상으로 나타나 이 연령층에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야외 활동 시에는 밝은 색의 긴 바지와 긴 소매의 옷을 입어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 모기가 흡혈하지 못하게 품이 넓은 옷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가정 내에서는 방충망 또는 모기장을 사용하고 캠핑 등으로 야외 취침 시에도 텐트 안에 모기 기피제가 처리된 모기장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일본뇌염 국가예방접종 사업 대상인 생후 12개월에서 만 12세 이하 어린이는 표준예방접종일정에 맞춰 접종을 완료해야 한다.
성인의 경우 논 또는 돼지 축사 인근 등 일본뇌염 매개모기 출현이 많은 위험지역에 거주하거나 네팔, 중국, 러시아, 사이판 등 일본뇌염 유행국가로 여행 계획이 있는 사람 중 과거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없는 성인은 예방접종이 권장된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