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공공기관이 지난해 2,673억 원 규모의 장애인 표준사업장 생산품을 구매한 것으로 확인됐다.
고용노동부는 국가기관, 자치단체, 공기업 등 814개 공공기관이 지난해 장애인 표준사업장에서 구매한 생산품 총액은 2,673억 원으로 전년 1,853억 원과 비교해 44.3% 증가했다고 23일 밝혔다.
총 구매액 중 장애인 표준사업장 생산품 구매액이 차지하는 구매 비율은 0.56%로 전년 0.40%와 비교해 0.16%p(포인트) 늘어났다. 구매 목표비율을 지키는 기관 비율은 65.6%(552개)로 전년 52.6%(438개)와 비교해 13.0%p 상승했다.
기관 유형별로는 준정부기관(1.02%), 지방자치단체(1.00%), 공기업(0.52%), 지방공기업(0.44%), 지방의료원(0.43%), 기타공공기관(0.40%), 국가기관(0.39%), 교육청(0.32%) 등으로 높았다.
구매 실적은 한국토지주택공사(175억 원), 한국도로공사(149억 원), 한국농어촌공사(69억 원) 순으로 많았다. 구매 비율은 한국보육진흥원(24.20%), 한국보건사회연구원(12.42%), 우체국시설관리단(11.38%) 순으로 높았다.
주요 구매 품목은 기존의 복사용지, 토너, 컴퓨터 등 사무 용품에서 전류 계측용 변류기, 배전반, 폐쇄 회로 텔레비전(CCTV) 등으로 다양해졌다.
아울러 고용부는 올해 각 기관별 구매 계획을 공고했는데 지난해 구매 실적보다 14.3% 감소한 2,291억 원으로 나타났다.
고용부 측은 “많은 기관이 지난해 목표를 초과 달성했으나 올해 계획을 지난해 실적보다 낮추었기 때문으로 앞으로 구매 목표 비율을 상향 조정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했다.
한편, 공공기관은 장애인에게 안정된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총 구매액의 0.3% 이상을 장애인 표준사업장 생산품으로 구매해야 한다. 지난해부터는 구매 실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각 기관의 전년도 구매 실적과 해당 연도 구매 계획을 누리집에 공고하고 있다.
송홍석 통합고용정책국장은 “공공기관이 구매 계획을 원활하게 이행하도록 장려하고 민간기업도 함께 장애인 표준사업장 생산품 구매에 나설 수 있도록 다양한 홍보와 지원을 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