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지능형 CCTV, 첨단 얼굴인식기술 등을 활용해 실종아동이나 치매환자의 신원을 신속히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경찰청은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안심 귀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섰다. 이를 위해 실종아동,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등의 신원확인을 위한 ‘복합인지기술개발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2017년 기준 실종아동 수는 연간 2만여 명, 치매환자·지적장애인 등 실종자 수는 연간 1만9천여 명으로 실종인원은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실종현장에서 탐문수사 등 현재 대응체계만으로는 정확한 현장정보 파악이나 대응에 한계가 있어 보다 근원적인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복합인지기술은 대상자의 현재 얼굴은 물론 시간, 행동, 장소 등 변화하는 정보를 종합적으로 인식하고 서로 연결해 빠르고 정확하게 신원을 확인하는 기술이다.
실종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해 위치를 추적하고 장기 실종자의 경우 부모 유전자에 기반을 둔 나이 변환으로 현재 얼굴을 추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올해부터 2022년까지 5년간 총 320억원이 투입된다. 과기정통부 200억원, 산업부와 경찰청이 각각 60억원을 지원한다. 현장 출동경찰이 활용하는 착용기기나 통합관제시스템 등에 실증 서비스를 진행하기로 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총괄을 맡고 연세대학교, 에스큐아이가 참여한다.
아울러 복합인지기술개발사업의 현장 적용을 위해 안양시와 안양동안경찰서가 기술개발 초기부터 참여해 다양한 현장 의견들이 기술개발 전 과정에 반영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실종아동이나 치매환자 등 사회적 약자들이 보다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정부가 최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 중 하나다”며 “과학기술과 ICT을 활용해 일상 생활현장에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가 창출되도록 부처 간의 유기적 협업을 바탕으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