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자율주행 버스와 화물차를 개발하고 이를 대중교통, 물류 등 교통서비스에 도입하기 위한 실증연구가 시작된다.
국토교통부는 25일 서울 엘타워에서 ‘자율주행 기반 대중교통 시스템 실증 연구’와 ‘차량·사물통신(V2X) 기반 화물차 군집주행 운영기술 개발’ 연구개발 과제에 대한 착수보고회를 개최한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자율주행차 기술 개발은 개인 승용차 위주로 이루어져 왔고 버스나 화물차는 이제 시작하는 단계다. 지금까지 45대의 자율주행차가 임시운행허가를 받았으나 그중 버스는 4대에 불과하고 화물차는 아직 허가받은 차량이 없다.
정부는 자율주행 버스와 화물차의 기술 개발을 촉진하고 이를 교통서비스에 도입하기 위해 연구개발을 추진하기로 했다.
먼저 신호등, 횡단보도, 보행자 등을 인식할 수 있고 안전한 승하차가 가능한 소형·중대형 자율주행 버스를 제작해 실시간 통신으로 현장 인프라와 연계된 대중교통 시스템을 개발한다. 올해 자율주행 버스와 시스템 설계를 거쳐 내년에 소형 버스 2대를 제작해 시험운행을 시작한다. 2021년까지 8대 이상의 소형·중대형 자율주행 버스를 연계 시험운행 할 계획이다.
또한 실시간 통신을 통해 주변 차량과 장애물 정보를 공유하고 대열을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합류와 이탈이 가능한 자율·군집주행 화물차를 제작하고 이를 관리하는 관제 시스템을 개발한다. 올해 자율·군집주행 화물차와 시스템 설계를 거쳐 내년 화물차 2대를 제작해 시험운행을 시작하게 된다. 역시 2021년까지 4대 이상의 화물차를 연계 시험 운행할 계획이다.
국토부 이재평 첨단자동차기술과장은 “이번 연구개발을 통해 자율주행 대중교통, 물류 등 새로운 교통 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