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우윤화 기자] 24일부터 서울에서 대만으로 향하는 하늘길이 넓어진다.
국토교통부는 항공교통량 증가로 혼잡이 심각해진 동남아 항로 ‘서울-대만’ 간 1,466km 구간을 복선항로 방식으로 운영해 항공교통 흐름을 개선하기로 했다.
종전에는 서울-제주 구간에만 복선항로를 운영했다. 제주 남단 이후부터는 단일항로에서 비행고도 별로 항공기가 분리돼 층층이 운항하는 방식을 따라 병목현상에 따른 교통제약이나 혼잡상황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았다는 것이 국토부측 설명이다.
국토부는 2015년부터 일본, 대만 등 관련 항공당국에 해당 항로의 복선화 필요성과 효과에 대해 지속적으로 설득한 끝에 올해 2월 최종 합의하고 각국 관제기관과의 합의서 개정, 항공정보간행물을 통한 국제 고시 등 관련조치를 완료했다.
서울-동남아를 연결하는 하늘 길은 폭 8~10마일로 구성된 2개 항로가 사용된다. 서울에서 동남아 방면으로 비행하는 항공기는 서쪽 항로(Y711), 동남아에서 서울 방면으로 비행하는 항공기는 동쪽 항로(Y722)를 각각 사용하게 된다.
현재 이 노선을 연결하는 항로는 하루 약 820편이 이용하고 있다. 국내 49개 항로 가운데 교통량이 가장 많은 항공로로 대만, 홍콩, 마카오, 베트남, 태국, 발리, 싱가포르,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발리 등 동남아 주요국가와의 항공노선을 연결하고 주로 새벽 시간대와 심야시간대에 교통량이 집중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2012년 서울-제주 구간 복선화 이후 비행편당 약 1분 20초의 시간단축과 연료절감 효과가 있었다”며 “이번 항로 복선화를 통해 비행안전과 항공교통 개선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