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민 기자] 경주, 포항 등 원전 주변 지자체에 방사능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됐다.
행정안전부와 원자력안전위원회는 방사능 누출재난 발생 시 신속한 주민보호를 위해 원전시설 주변 29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방사능상황정보공유시스템’ 구축을 완료했다고 19일 밝혔다.
원전주변 지자체는 부산 기장군·해운대구·금정구, 울산 울주군·중구·남구·북국·동구, 강원 삼척시, 전북 고창군·부안군, 경북 경주시·포항시, 울진군 등 29개다.
방사능상황정보공유시스템은 원전사고가 발생하면 방사능 누출 범위를 예측하고 주민대피를 위한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게 된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계기로 기관 간 정보공유체계 구축의 중요성이 대두됐으나 정작 주민보호에 직접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지자체는 이러한 시스템이 없어 초기대응에 대한 문제가 제기됐다.
시스템 구축으로 평상시 원전가동상태, 전국의 지역별 환경방사선 정보 등을 실시간 공유하고 실제 원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대응기관 간 협력을 통해 신속하고 효과적인 조치가 이루어질 전망이다.
신상용 행안부 환경원자력협업담당관은 “방사능상황정보공유시스템을 활용해 지자체와 함께 원전재난 모의훈련을 실시하고 원전사고에 대비한 주민보호체계를 더욱 개선해 나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