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인수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국적항공사들이 국제노선을 운항하면서 항공기 배출가스 감축활동을 다각도로 실시해 온실가스 약 45만톤 감축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정부와 국적항공사들은 2010년부터 ‘항공분야 온실가스 자발적 감축협약’을 체결하고 기후변화와 국내외 온실가스 배출규제에 대응하고 있다.
국내노선은 ‘배출권거래법’에 따라 국가 배출권거래제 적용 대상이고 국제노선은 동 협약에 따라 업계가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항공사들은 연료효율이 좋은 최신형 항공기 교체, 주기적인 엔진 세척, 객실카트 등 기내 탑재물 경량화, 지상이동 중 엔진출력 낮추기 등 여러 수단을 통해 연료효율을 높이는 데 많은 노력을 해 왔다고 밝혔다.
지난해 국적 항공사들의 감축실적을 확인한 결과 2016년 대비 연료효율이 3.8% 대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항공유는 14만톤 저감, 온실가스는 45만톤 감축에 성공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여의도 약 49배 면적에 30년생 소나무 약 6천 9백만 그루를 심는 효과와도 같다. 이를 비용으로 환산할 경우 약 986억원 상당에 해당한다.
국토부 측은 “감축실적이 우수한 항공사에 운수권 배분 시 가점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도 다양한 제도와 지원을 통해 항공사의 온실가스 감축노력을 더욱 장려해 나갈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